논문 상세보기

대규모 산지유역 토양침식 평가를 위한 SEMMA 개선 KCI 등재

SEMMA Revision to Evaluate Soil Erosion on Mountainous Watershed of Large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9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산지의 토양침식 모형인 SEMMA를 대규모 산지유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래 SEMMA의 기본구조와 주요 매개변수의 산정방법을 설명하였고,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개선 매개변수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NDVI를 활용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지수 대신 식생피복지수를 사용하여 개선된 모형 SEMMA-Ic을 개발하였다. 개선모형의 모의결과 상관계수와 모의효율계수는 본래 모형보다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개선모형을 유역에 적용한 결과 실측값에 근접하게 모의했고, 토사유출량이 많은 경우에는 과소 예측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산지 사면에서 개발한 토양침식 모형을 유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로침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EMMA(Soil Erosion Model for Mountain Areas) should be revised to apply on mountain watershed of large scale. In this study, the basic structure of original SEMMA and methods to calculate main parameters are reviewed and the revised parameters are presented to expand a range of application. SEMMA-Ic is new model revised by a rate of vegetation cover which is substituted for index of vegetation structure to use specially NDVI for large scale a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Nash-Sutcliffe simulation efficiency for the revised model decreased rather than those of original model. However the evaluation of the revised model on watershed showed the approximate simulation with measured sediment yield and the underestimated simulation when sediment yield is large. The additional research for channel erosion is needed so that soil erosion model for hillslopes is used to estimate sediment yield from a watershed.

저자
  • 신승숙(강릉원주대학교 방재연구소 전임연구원) | Shin, Seung Sook
  • 박상덕(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Park, Sang Deog 교신저자
  • 이종설(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장) | Lee, Jong Seol
  • 이규송(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교수) | Lee, Kyu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