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바일 역기능 해소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학습자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소양 지도 KCI 등재

The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hrough Reduction Programs for Side Effects of the Mobile Ph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8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많아지고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학생들이 스마트폰에 빠지는 것을 지켜보면서 모바일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하였다.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원하는 사람과 소통하고 각종 매체로부터 다양한 미디어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편리하기는 하지만 이에 따른 역기능 또한 함께 대두되고 있다. 우리 아이들은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카카오톡과 같은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무분별하게 쏟아지면서 이들을 이용한 사이버 연애 및 성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 가지는 매력 때문에 아이들이 매료되어 중독이라 할 정도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재 아이들이 모바일기기로 인하여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부작용을 예방하고 새로운 정보통신 윤리관의 정립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모바일 역기능 해소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학습자 정보통신 윤리의식 소양 지도를 모색하게 되었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students to reduce side effects of the mobile phone
driven by the increasing use of smartphone and the growing number of smartphone addicts. Using a variety of mobile devices, it is useful to have easy access to information of a variety of media and communicate with other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ut it can also has serious problems. Because students can easily access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senseless chat application such as cacao talk through smartphones, they have become a breeding ground of sex crimes and cyber love. And another problem is that students tend to overuse smartphones. So, I tried to prevent side effects of the mobile phone that students have never experienced, to have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nd to start looking in the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hrough eduction programs for side effects of the mobile phone in terms of educational value.

저자
  • 장택성(서울미성중학교 부장교사) | Tackseong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