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교육 · 보육 통합을 위한 교원 정책 방안 KCI 등재후보

Teacher Policie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OECD국가의 유아교육 보육 교원양성과정 및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과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보육 교원양성 및 자격 제도와 교원현황을 분석하여 유보통합을 위한 교원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OECD 국가들은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현직교육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학력차이가 크며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급여에서 낮은 처우를 받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보육 통합의 방향을 교육부 관리체제하의 0-5세 (가칭) 유아학교로 보고, 이를 위한 교원의 자격과 양성체제 개편의 단계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단계는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동질성 확보단계(2013년)로서 학과중심 양성체제로의 전환, 보육교사 3급의 역할 차등화, 담임교사와 부담임 또는 방과후(종일제) 교사의 직무 표준화 및 자격차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2단계는 (가칭) 유아(학교)교사로서의 전환 준비단계(2013~2016년)로서 학사학위 자격으로의 전환 및 대학의 선택권 부여, (가칭) 유아(학교)교사 표준양성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자격 상호인정, 기존 교사에 대한 한시적 학사학위 및 자격취득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 3단계는 (가칭) 유아(학교) 교사 정착 단계(2017년~)로서 교원의 일원화가 정착되기 위해 교원의 처우개선과 급여 기준의 정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irection for Korea's teacher policie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care programs by analyzing efforts to improv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teacher quality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s teacher development and qualification programs. OECD member states have been adopting higher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childcare professionals and kindergarten teachers and have been provid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teachers in the field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Currently, a large gap exists between the education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at of childcare professionals, who also face relatively inferi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longer working hours and lower wages. Accordingly, assuming the (tentatively named) Early Childhood School for ages 0 to 5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the model for integrating the two separate systems, this research proposes the following multi-phase reform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preparation programs. Phase 1(2013) is when homogeneity is achieved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professionals. Major tasks during this phase include conversion to a department-centric teacher preparation system, differentiation of the role of Level 3 childcare professionals, standardization of job descriptions and qualification differentiation for classroom main teachers, deputy teachers and teachers for full-day programs. Phase 2(2013-2016) is when the conversion to the Early Childhood School is prepared by converting all teachers to a bachelor's degree qualification, granting universities the right to choose, developing standar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mutually recognizing kindergarten teacher and childcar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opening a temporary window for existing teachers to obtain bachelor's degrees and relevant qualifications. Phase 3(2017 ~ ) is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program is stabilized by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and revising salary standards.

저자
  • 조부경(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Cho, Boo 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