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립 유치원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Perceived Difficulties of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in Teacher Development Dimens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6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 유치원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의 양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수도권 지역 공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직 경력 1년 6개월 이내의 임의 선정된 초임교사 10명은 각각 초임교사로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쓰기를 하였다. 이야기 쓰기 이후에는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면담 준거를 통해 3차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다. 면담 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녹음되었으며, 면담 과정중이나 면담이 끝난 후에 면담 대상 교사에게서 받은 인상이나 느낌은 간략하게 기록으로 남겨졌다. 이야기 쓰기와 교사 면담 및 현장 약기 이외에 초임교사의 어려움을 나타내 줄 수 있는 교사 개인의 일지, 일일 교육 계획안의 교사 평가가 기타 자료로 수집되어 연구 대상 교사에 대한 정보를 보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합, 코드화, 분류,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유치원 교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수업 준비 시간의 부족, 학급 운영 기술, 이론을 실제 수업에 접목시켜 전개하기,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료교사나 장학 담당자, 학교 구성원과의 관계나 학교 문화에 적응하기, 교사로서의 심리적 부담감은 초임교사들이 처한 근무 환경이나 교사 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려움에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problems in three dimensions of teacher development; self-understanding, knowledge and skills, and ecological dimensions. Each of 10 beginning teachers wrote their own stories about beginning teachers' problems. After their story writings, they were interviewed with three sets of questions made by these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or just after each interview, one researcher took a field note on her impression about the interview. Collected data and field notes were integrated, coded, and sorted for the emerging patterns. Results illustrated that every beginning teachers had problems in knowledge and skills dimens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understanding and ecological dimension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dispos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s.

저자
  • 강상이(서울 난곡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 | Kang, Sang-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