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며느리 특성에 따른 여성노인 삶의 질 연구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with a Multi-cultural wo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6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현대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급격한 고령화가 야기되어지고 있고 현대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다문화가정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사회에 이제까지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가정형태가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새로운 가족 관계 중 특히 시부모와 며느리의 관계는 그 관계지속기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며느리를 둔 여성노인들이 최대한 행복과 만족을 느끼면서 살아가기 위한 삶의 질에 관한 연구를 하여 관련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Nowadays, multi-cultural homes increase abruptly due to sudden aging form modern medicine development and living standard improvement, and due to changes in modern society structure. It means that new types of home, which didn't exist in our country in the past, are forming. New family relations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gets more important, for average life span increases and the relation period between the two gets longer. This study expects for study results to be used for basic materials in preparing social welfare services so that old women with Multi-cultural women can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positive and desirous adap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ects for the result to contribute to healthy homes aided by politic, institutional aids as well as developed practical problems in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문제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Ⅱ. 이론적 배경
  1. 여성노인의 특성과 삶의 질
  2. 다문화가정의 개념 및 실태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분석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척도의 타당성 검증
  3. 다문화며느리의 부양행동이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4. 고부관계만족도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5.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6.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미정(밀알꿈터 장애인직업재활시설장) | Park, Mi-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