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출산 시대 여성의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발전방안

The Measure of Development for the Childbirth of a Multitude of Children of Women in the Era of Low Fert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6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우리 사회는 고령사회와 더불어 출산률이 낮아지며 저출산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저출산 시대에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발전방안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특히 여성의 관점에서 다자녀 출산을 위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출산 시대의 문제점으로는 경제성장의 위축, 세대 간의 갈등 심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고용 관계에 영향, 재정 및 산업구조의 영향, 복지부문에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저출산 시대의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발전방향으로는 양성평등에 의한 인식 수준 개선,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른 지원 확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일관성 있는 정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은 현재의 국가발전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국가의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서 반드시 개발․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출산의 근본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전문적인 기구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정책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ogether with the aged society our society is getting into the era of low fertility as the birth rate becomes low. In this era of low fertility, this thesis has a purpose of looking into the method of development for the childbirth of a multitude of children and especially in the viewpoint of women it looked into the problems for the childbirth of a multitude of children and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childbirth of a multitude of children. The problems of the era of low fertility are the shrinking of economic growth, the deepening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the influence of employment relation following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the influence of finance and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f welfare sector. A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childbirth of a multitude of children in the era of low fertility,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level by gender equality, actual economic support, the expansion of support following various family forms and the consistent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suggested. Further, the policy to overcome the low fertility should be necessarily developed and implemented not only for the current development of the country but also for leap of the country to advanced country in the medium to long term. In order to analyz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low fertility and to draw solutions, more specialized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level of the country and through them policy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forwar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본 론
  1. 저출산의 문제점
  2. 다자녀 출산을 위한 복지정책
 III. 다자녀 출산을 위한 발전 방향
  1.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 수준
  2. 실질적이지 못한 경제지원
  3. 전형적인 가족형태에 근거한 지원의 한계
  4.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정책 일관성 결여
 I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경화(세계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학과 전임강사) | Kim, Kyung-hwa
  • 이주연(세계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학과 전임강사) | Lee, Ju-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