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EarlyㆍFormer Residential Area of the Nam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최근 발굴의 증가로 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조전기 주거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있다. 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조기는 돌대문토기 뿐만 아니라 이중구연토기, 거치문토기, 공렬문토기 등이 함께 확인되고 있어, 이를 이른 시기의 양상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남강유역에서도 이러한 토기들이 돌대문토기와 공반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돌대문토기와 형태가 유사한 폭이 좁은이중구연토기가 확인되었다. 이 이중구연토기와 돌대문토기는 서로 공반하기도 하고, 단독으로도 존재하기 때문에 양자의 관계는 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성립기와 관련해 중요한 문제이다. 즉, 돌대문토기만을 중심으로 하는 단독기의 설정이 가능한지, 혹은 돌대문토기를 비롯한 이중구연토기, 거치문토기, 공렬문토기 등을 포함하는 조기의 설정이 가능한지의 문제와 관련된다. 이것을 밝히기 위해 개별주거의 분석과 함께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토기의 편년을 진행하였다. 주거지와 유물의 편년을 통해 남강유역의 조전기주거지는 4단계 2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ㆍ2단계는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a를 중심으로 하는 남강유역 Ⅰ기로, 기존의 조기와 전기를 포함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1단계에는 돌대문토기가 중심이고, 향후 신석기시대와 관련된 양상이 확인될것으로 판단한다. 2단계는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a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가 남강유역에 유입되면서 정착해 가는 시기로 보인다. 3-4단계는 이중구연토기bㆍc와 구순각목문, 공렬문을 중심으로 하는 남강유역 Ⅱ기로 설정 할 수 있다. 기존의 전기 전반 일부와 전기 후반을 포함하는 시기이다. 가락동식토기가 출토되는 3단계는 주거지의 수적 열세가 있고, 2단계와 주거지에서 공통되는 점도 있지만, 돌대문토기가 소멸된다는 점에서 1ㆍ2단계와는 구분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4단계는 흔암리식토기가 다수 확인되고, 이중구연이 흔적으로만 남아 공렬문만 시문되거나 단사선문만 시문되는 경우로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주거지의 소형화와 함께 나타나는데, 공렬문이나 구순각목문, 구순각목공렬문의 비중 또한 점점 높아진다.
The research on the earlyㆍformer residential area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isproceeding active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recent excavations. In the early days focusing onDoldaemun earthenware, Ijunggyyeon, Geochimun, Gongryeolmun earthenware as well asDoldaemun earthenware have been confirmed and they are tended to be aspects in the early period.This earthenware in the Nam River basin have been associated with Doldaemun earthenware,narrow Ijungguyeon earthenware that is similar to Doldaemun earthenware among them wasconfirmed. Ijungguyeon earthenware and Doldaemun earthenware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and are present independently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an important issue withregard to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Bronze Age. In other words, it's related whether theindependent period is set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whether the early period includingIjunggyyeon, Geochimun, Gongryeolmun earthenware as well as Doldaemun earthenware is set.The pottery chronology was conducted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and Ijungguyeonearthenware with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ly residential area to uncover this point.Through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chronology of the relics, earlyㆍformer residential area inthe Nam River basin can be distinguished 4 steps and 2 periods. Step 1,2 is I period in the NamRiver basin focusing on Doldaemun and Ijungguyeon earthenware a and can be seen as the periodincluding the existing early and former period. In the step 1, Doldaemun earthenware is centered,it's considered that patterns related to the Neolithic era in future will be confirmed. In the step 2, itseems to be the period of going to settle down as various cultures as well as Doldaemun andIjungguyeon earthenware a were brought into the Nam River basin. Step 3,4 can be set as Ⅱ periodin the Nam River basin focusing on Ijungguyeon earthenware b, c and Gusungakmokmun(9 typesof a position of diagonal lines and a length), Gongryeolmun. This is included in some of the firstpart and the last part of the former period. In the step 3 that Garak-dong style earthenware areexcavated, it has numerical inferiority of the residential area, there is a common point in the step2 and the residential area but it can be seen as the period to be separated with step 1, 2 in thatDoldaemun earthenware is destroyed. In the step 4, Heunamri style earthenware are confirmed alot, Ijungguyeon remains as a trace so that it's changing in the case of questioning onlyGongryeolmun or Dansaseonmun. This phenomenon has appeared with the miniaturization ofthe residential area, the proportion of Gongryeolmun or Gusungakmokmun(9 types of a positionof diagonal lines and a length), Gusungakmokgongryeolmun is increasing hig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