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대한 제도적 결정요인과 경영성과 KCI 등재

The Institutional Drivers on Global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y of MNCs and Business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4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해당 결정요인들을 바탕으로 실행된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이 다국적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보기 위함이다. 제도적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규제적 압력과 글로벌 경쟁자 압력이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다국적기업의 친환경혁신전략과 경영성과 간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가설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주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통합적인 모형을 나타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PLS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검증 되었으며 자료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다국적기업의 본사 중 식품가공 및 처리를 제외한 제조업만을 한정하여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또한 경로분석에 앞서 수집된 자료의 편의를 없애기 위해 무응답편의 및 동일방법편의 진단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제도적 압력 요인들이 다국적기업의 친환경혁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와 더불어, 본 연구결과는 다국적기업 의 친환경혁신전략이 기업의 경영성과 개선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determinants that MNCs are able to formulate a global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y and to see whether the global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y influences its performance or not using the framework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PLS. Drawing on the institutional theory for the driver's perspectiv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both global regulatory pressure and global competitive pressure are positively related in the global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y.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sent to headquarter of Korean multinational enterprises(MNEs) publicly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in June 2013. The results suggest all institutional pressure are related in the global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y significantly.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global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y affects its performance positively. Therefore, this study agrees with the researchers affirming that eco-friendly innovation strategies positively influence firm's performance while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
  2.1 제도적 이론
  2.2 친환경혁신전략의 제도적 결정요인
 Ⅲ. 연구모형과 가설제기
  3.1 글로벌 규제적 압력과 친환경혁신전략
  3.2 글로벌 경쟁자 압력과 친환경혁신전략
  3.3 친환경혁신전략과 다국적기업의 경영성과
 Ⅳ. 연구방법론
  4.1 자료 수집과 표본의 특성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4.3 분석방법
 Ⅴ. 실증 분석
  5.1 기술통계
  5.2 신뢰성 분석 및 타당성 분석
  5.3 PLS 구조모형을 이용한 가설검정
  5.4 분석결과의 함의
 Ⅵ.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종희(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강사) | Jonghee Jeong 제1저자
  • 김석수(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교수) | Seogsoo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