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육과 기주선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Bt Cabbage (Brassica oleracea) on the Host Preference and Performance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emiptera: Aphidid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7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은 대상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생태계 내의 다른 비표적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재배에 앞서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좀나방 내성 유전자변형 Bt (Cry1Ac1)양배추가 비표적 곤충인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기주선택실험 및 성장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주선택실험에서, 두 개체씩의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각각 10마리의 유시 성충(alate virginoparae)을 접종하고, 사흘간 생식(reproduction) 기회를 제공한 후 생산한 약충의 마리수를 측정한 결과,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낳은 약충의 수가 각각 21.9±1.8와 22.5±2.2로 비슷하였다. 성장실험에서, 갓 태어난 무시 약충(apterous virginoparae)을 Bt 양배추 및 모본 양배추를 기주로 하여 키웠을 때, 성충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서 각각 5.8±0.2, 5.9±0.1 일(da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개체군 생장률(rm) 또한 0.7±0.1, 0.8±0.1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때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미미함을 알 수 있으나, 다양한 관점에서의 보완 연구가 더 필요하다.

Transgenic crops that produce insecticidal toxins have a great potential for controlling target pest insects, but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unintended influences on non-target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the preferences and performance of non-target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on transgenic cabbages (Brassica oleracea) that produce Bt toxin (Cry1Ac1) and untransformed control plants were investigated as a part of risk assessment. In a free-choice situation, the number of nymphs larviposited by 10 winged adults over 3 days was 21.9±1.8 and 22. 5±2.2 on transgenic and the control plant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aphids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the two types of plants. In a performance assay, the development time (D) and intrinsic rate of increase (rm) of wingless aphids reared on transgenic and control plants were also similar (D, 5.8±0.2 and 5.9±0.1 (days) and rm, 0.7±0.1 and 0.8±0.1,for transgenic and control plan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 persica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ransgenic Bt cabbage.

저자
  • 남기정(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Nam, Ki Jung
  • 김영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김영중
  • 문두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문두범
  • 남경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남경희
  • 백인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백인순
  • 박정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박정호
  • 정순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정순천
  • 한지학( (주)농우바이오 R&D본부) | 한지학
  • 김창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김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