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쓴메밀 추출물의 미백 개선 효과 KCI 등재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8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쓴메밀 추출물(FTE)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단메밀 추출물(FEE)과 그 효능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로 쓴메밀 추출물은 단메밀 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세포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적용 실험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 색소침착을 유발한 후, 쓴메밀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도포하였고, 8주 경과 후 피부 밝기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쓴메밀 추출물은 미백 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intracellular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to verify the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bitter buckwheat) extract as contrasted with Fagopyrum esculentum (sweet buckwheat) extract. F. tataricum extract in consequence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compared with F. esculentum extract. We investigated skin bright value during 8 weeks after induction of pigmentation in human skin from UV irradiation. In result, we obtaine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skin whitening effect from visual and mechanical evaluation. Accordingly, F. tataricum extract is expected to be high availability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for skin whitening.

저자
  • 한나경((주)한국화장품제조 기술개발연구소) | Han, Na Kyeong
  • 박창민( (주)한국화장품제조 기술개발연구소) | 박창민
  • 권주찬( (주)한국화장품제조 기술개발연구소) | 권주찬
  • 정민석( (주)한국화장품제조 기술개발연구소) | 정민석
  • 최종완( (주)한국화장품제조 기술개발연구소) | 최종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