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시화 및 기후변화에 의한 홍수피해의 증가로 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ID) 요소기술에 관하여 다양하게 개발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기술에 대한 효율을 검증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증방법 및 기기는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ID 기법에 대한 물순환의 효율성 검증이 가능한 강우-유출 모의장치를 개발하였다. 소유역 내 강우가 균등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강우공간분포실험 및 유입유량-유효우량 관계 실험을 통하여 강우를 검증하고 유입되는 강우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침투 및 지표유출 관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즐의 종류에 따른 적정유량범위와 RPM의 관계를 정리하였으며 강우-유출 모의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투수면과 불투수면에서의 강우 시의 수문학적 물순환(지표유출, 중간유출, 침투량)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have affected a increase of peak discharge and water pollution etc. In a view of these aspects, the LID(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has been highlighted as one of adjustable control measures to mimic predevelopment hydrologic condition. Many LID technologies have developed,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with verification of LID technology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rainfall-runoff simulator could be possible to verify LID technology efficiency. Using this simulator, this study has experimented the rainfall verification through the rainfall distribution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 to show the relation between inflow and effective rainfall in order to sprinkle the equal rainfall in each unit bed. As a result, the study defined the relation between allowable discharge range and RPM by nozzle types and verified the hydrologic cycle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infiltration rate, surface runoff and subsurface runoff at pervious area and impervious area through the rainfall-runoff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