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방영상시스템에서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이용한 선량평가 KCI 등재

Dose Evaluation Using Mathematical Simulation of Radiation Exposure Body in Mammography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2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유방촬영의 경우 대부분 양쪽 유방에 대해 연속촬영이 시행되고 있으며, 검사 시 규정하고 있는 3 mGy의 평균유선 선량 보다 낮다 하더라도 추가 검사 및 연속촬영으로 인해 실제는 더 많은 선량을 받게 된다. 또한 검사 유방 외에 주변장기선량에 대해 인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영상시스템에서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이용하여 필터의 두께 변화(25, 30, 50 μm)에 따른 주변장기 선량분포와 검사측 유방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흡수선량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검사 반대 유방의 선량이 검사 유방을 기준으로 79.26∼86.31%정도로 많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o/Mo, W/Rh 조합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필터 두께 30 μm, 50 μm 보다 얇은 25 μm를 사용했을 때 검사 반대 유방과 주변장기의 상대적 흡수선량률이 낮게 나타났다.

Mammography is mostly performed by series projection on both breasts. While taking mammography, it is less than average glandular dose of 3 mGy which regulated. But mammography is exposed much more doses actually, due to additional or series projection. Also,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round organ dose except exposed breast. Using mathematical simulation of radiation exposure body in mammography, we studied around organ dose distribution by changing thickness(25, 30, 50 μm) of filter and relative absorption dose rate which set on basis of exposed breast. as a result, when setting of basis of exposed breast, dose of opposite breast is more affected approximately from 79.26 to 86.31%. when using 25 μm of filter thickness than 30 μm, 50 μm of filter thickness in Mo/Mo, W/Rh combination which used actually, absorbed dose rates for opposite breast and around organ were low.

저자
  • 이진수(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영상의학과) | Lee, Jin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