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KCI 등재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Upo Wet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5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2005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매월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8강 35과 86속 213종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14~50의 범위였으며, 평균 출현종수는 34±10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5년 8월에 161 cells mL-1로 가장 낮았으며, 2006년 8월에 159.283 cells mL-1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06년 하계에는 남조류에 의한 수화 발생으로 극단적으로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총 34회에 걸친 조사에서 우점종은 총 13종으로 나타났으며, 녹조류와 남조류의 종들이 각각 4회씩 우점하였다. 우포늪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살펴보면, 동계에는 은편모조강과 와편모조강, 규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으며, 비동계 기간에는 녹조류와 규조강의 종들이 주요 출현종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6년 하계에는 남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는 0.50~2.86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매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or Upo wetland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7 on monthly basis. During the investigation, totally 213 phytoplankton taxa which belonged to 86 genera of 35 families in 8 classes were observed. Chlorophyceae was the most diverse in the Upo wetland. Number of phytoplankton taxa was in the range 14~50 for monthly investigation and the average number of taxa was 34±10.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ere the lowest value of 161 cells mL-1 in August 2005 and the highest with 159,283 cells mL-1 in August 2006. Especially during summer season in 2006,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showed the highest value due to the waterbloom occurred by cyanobacteria. The number of the dominant taxa of Upo wetland were 13 and among them chlorophyceae and cyanophyceae dominated 8 times. In the view of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Upo wetland had high portion of cryptophyceae, din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in the winter season and chlor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in the other season. However, in the summer season of 2006, cyanobacteria showed the highest portion. The diversity indices had range from 0.50 to 2.86 and showed the tendency of gradual decrease in each year.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1. 출현종 현황
  2. 출현종수 현황
  3.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
  4.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현황
  5.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6. 종다양도지수 변화
 고 찰
 적 요
 사 사
 인 용 문 헌
저자
  • 이정준(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Lee, Jung Joon
  • 이정호(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Jung Ho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