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인공호 관리를 위한 다변수 수질평가 모델의 개발 및 적용 KCI 등재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metric Water Quality Assessment Model for Reservoir Managemen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5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공호 4대 수계 39곳을 선정하여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5년간의 수질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변수 수질평가 모델을 개발하고, 그 모델을 이용하여 2008년 1년간의 자료를 통해 팔당호와 대청호의 수질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다변수 수질평가 모델은 4개의 수질변수를 각각 부영양, 중영양, 빈영양의 3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부여하고, 수질변수별 획득점수를 총합하여 총점으로 계량화하였으며, 총점을 구간별로 5등급으로 나누어 최종 수질등급을 부여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수질평가 모델의 적용 결과, 팔당호는 전반적으로 보통(Fair) 및 악화(Poor) 상태로 나타났으며, 대청호는 최적(Excellent) 및 좋음(Good) 상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수자원의 가치를 결정하는 수질항목 중 가장 보편적인 중요성을 가지는 것은 유기물의 함량이며 이런 유기물은 수체 내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수질평가 모델을 개발함에 있어 수체의 수리 수문학적 특성을 비롯해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 생물학적 특성 등의 각종 이화학적인 특성이 고려되었으며, 이러한 항목을 각각 평가 모델의 4가지 메트릭으로 선정하여 호소의 평가에 있어 복수의 측정지표가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복수 지표를 활용해 개발된 다변수 수질평가 모델은 호소의 영양 단계를 평가함에 있어 보다 정확한 판단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효과적인 호소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metric Water Quality Assessment (MWQA) model and apply it to dataset sampled from Paldang and Daechung reservoir in 2008. The various water dataset used to this study included 5 year data sets (2003~2007) in Korean reservoir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this study, suggested MWQA model has 4 metrics that were composed of 4 parameters such as chemical, physical, biological, and hydrological variables. And, each of the variables attributed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in water, secchi depth (SD) measure in water, chlorophyll-a (Chl-a) concentration in water and the ratio of inflow of water into lakes and efflux of water from lakes, input/output (I/O). First, we established the criteria for trophic boundaries. The boundary between oligotrophic and mesotrophic categories was defined by the lower third of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the values. The mesotrophic-eutrophic boundary was defined by the upper third of the distribution. Second, each metric was given by a point-oligo=1, meso=3, eu=5. And then, obtained total score from each metric was divided 5 grade-Excellent, Good, Fair, Poor, and Very poor. A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posed MWQA model, the Paldang reservoir obtained “Fair” or “Poor” grade and Daechung reservoir obtained “Excellent” or “Good” grade. The suggested MWQA model through these procedures will enable to manage efficiently the reservoir. And, more studies such as metric numbers and attributes should be done for the accurate application of the new model.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 호소 및 자료
  2. 연구과정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화학적 변수의 수질 특성
  2. 물리적 변수의 수질 특성
  3. 생물학적 변수의 수질 특성
  4. 수리 수문학적 변수의 수질 특성
  5. 다변수 수질평가 모델 (Multi-metric Water Quality Assessment, MWQA)의 개발
  6. 다변수 수질평가 모델의 검정
  7. 다변수 평가모델의 호수 적용 사례
  8. MWQA 모델을 이용한 수질평가의 기대효과
 적 요
 사 사
 인 용 문 헌
저자
  • 이현준(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Lee, Hyun-Joon
  • 안광국(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Kwang-Guk 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