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보간법(Kriging)과 계층적 의사결정 과정(AHP)을 이용한 농업입지 분석 KCI 등재

Agriculture Location Analysis Using Kriging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9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농업공간이 전통적 사회공간에서 국제적 경제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농업 입지에 관한 계량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미래의 시장성이 기대되는 작물인 복분자는 곡물대체 상업작물로서 지역적 특화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농업 클러스터로서 복분자에 대한 자연⋅인문 환경을 고려한 입지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지 못했으며, 일반적인 농산업 클러스터 입지 연구 조차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입지 연구의 특성과 한국의 농업입지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경상도 지역에서 복분자 클러스터가 입지할 수 있는 최적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통계기법인 Kriging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다기준 분석법(Multi-Criteria Analysis)의 하나인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기법을 이용하여 복분자 클러스터 입지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산출한 후 최적의 입지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경상북도 남서쪽 지역, 경상남도의 서쪽지역과 중앙부 지역, 남쪽 해안가 지역 등이 복분자 클러스터의 최적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상도 내 복분자의 지역적 특화에 대해 실질적인 활용 가치를 지니며, 관련 담당자나 농업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간분석 방법을 적용한 농업의 최적 입지모델을 제시한다.

The importance of quantitative spatial location analysis in agriculture became increased, as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international market oriented economic society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geographical studies about agricultural location analysis in Korea. As a case study about agricultural location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wild berry, which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s both market oriented and grain alternative agricultural product. Korean wild berry has been successful, in limited scale, as a regionally specific griculture product.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about location analysis about Korean wild berry considering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for the agri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o provide optimal location for Korean wild berry agriculture in Gyungsang province. Meanwhile, this study overviews previous Korean literature about agriculture location. Kriging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re applied for data management and spatial weight generation for Multi-Criteria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South-Eastern, Western, Southern areas in Gyungsang province are optimal locations for the wild berry agriculture.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importance for agricultural planning in Gyungsang province. In addition, this is meaningful to provide spatial quantitative modeling application in agriculture location.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농업입지연구의 특성과 한국의 농업입지연구
 III. 연구방법
  1. 크리깅 기법(Kriging)
  2. 다기준 분석(Multi-Criteria Analysis)
 IV. 데이터베이스 구축
  1. 연구 지역 및 연구대상
  2. 연구과정
  3.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4. 데이터 표준화
 V. AHP기법에 의한 최적지 선정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유민(고려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 Yu-Min Park
  • 김영호(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김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