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규모에서 공공도서관의 공간접근성 분석 : 강원도를 사례로 KCI 등재

Estimat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ies on the Regional Scale : A Case Study on Gangwon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9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물리적인 거리 접근성은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 모두가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양질의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를 사례지역으로 GIS의 접근성 분석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도서관의 공간적인 분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도서관 서비스의 공급 측면에서는 도서관의 좌석수, 소장 자료의 규모,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실시 횟수를, 수요 측면에서는 각 지역의 인구수를 각각 가중치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강원도의 도서관 분포는 춘천, 원주, 강릉 등 주요 도시지역에 서비스가 집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넓은 지역을 차지하는 읍・면 등 농촌지역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적 편차가 심각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강원도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고, 지역주민의 공공도서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Physical accessibility to the library can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the users. In particular, public libraries hav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are distributed equally to all as a basic righ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ublic libraries and their users in Gangwon province on the regional scale and identify its main characteristics and trend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GIS is used to measure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ies services in terms of both factors of supply and demand. This study presents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upply-side factors (e.g., seating capacity, collection size of books, reading, and cultural programs for community) and demand-side factors (e.g., popul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accessibility for library services in Gangwon province.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assist the public library planning and development authorities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libraries and to prioritize sites where public library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for library services in the study area.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배경
  1. 도서관 접근성 연구
  2. 강원도의 도서관 현황
 III.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1. 거리와 인구를 바탕으로 한 도서관 접근성 분석
  2. 좌석수를 가중치로 한 도서관 접근성 분석
  3. 자료수를 가중치로 한 도서관 접근성 분석
  4. 독서・문화프로그램 실시 횟수를 가중치로한 도서관 접근성 분석
 V. 결론
 註
 참고문헌
저자
  • 전보애(관동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 Bo Ae C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