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슈베르트 《악흥의 순간》(Moment Musical) Op. 94/6의 통합적 고찰 KCI 등재

Schubert’s Moment Musical Op. 94/6 : Its Integrated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이 글은 슈베르트 《악흥의 순간》(Moment Musical) Op. 94/6의 통섭적 고찰을 목적으로 필자와 기존 논문-콘(1981)과비치(1998)-의 논점을 인용,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자의 견해 와분석 방법, 적용 이론에 따라 가치를 두는 동기와 음악적 사건, 이에 따라 추론되는 결론이 다를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해석학적 접근을 시도한 콘이 토픽으로 규정한 약속음은-진의와 상관없이-작품 속에서 간과 하기 쉬운 세부 요소를 인식하면서 작품을 다른 시각에서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콘은 약속음 이행을 좌절 시킨, F♭-E♭에 해석학적 의미를 부여했으며 비치는 이를 주요 2도 하행 동기의 변형으로 처리하였다. 반면에 필자의 경우 F♭-E♭는 A-B부분을 결속시키는 동기적 유사성의 예로 해석하였다. 이와같이 동일한 음악적 구성요소라도 분석자에 따라 부여된 의미는 다르며 광범위하게 표현되고 해석된다. 그 표현적 의미를 객관화, 구체화 시키는 것이 음악해석학이 직면한 당면과제이지만 역설적으로 이것이 분석의 다양성과 효용성을 제안하는 음악 표현의 강점이기도 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generic and extrageneric meanings of Franz Schubert’s Moment Musical Op. 94/6 by quoting and comparing crucial points developed by Edward T. Cone, David Beach, and the present author. Cone attempts to reveal the extramusical meaning of the work by suggesting a promissory note that expects to be resolved upward, but whose duty remains unfulfilled. According to Cone′s interpretation, the delay of the proper resolution to that note is associated with the composer′s illness at the time he was writing, because music itself reflects human activity and state of mind. Beach, on the other hand, analyzes the work based on modal mixture using Schenkerian approach, and views what Cone called the promissory note with passing gestures as being connected to his main melodic lin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music has meaning, but the expressive meaning of the music can be hard to grasp, and to interpret, because the range of interpretation is wide, subjective, and does not always reach a consensus. This is not only due to the problems of musical hermeneutics but also the virtue of music, which can yield various and valuable analytical results.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악구 구조, 조성 구조 중심의 《악흥의 순간》 Op. 94/6 분석
 제3장 Op. 94/6에 관한 콘(1981)과 비치(1998) 분석 비교: 약속음을 중심으로
  3.1 약속음과 연계된 콘과 비치의 논의 비교 분석
 제4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지영 | Jiyoung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