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PS게임 레벨디자인에서 Choke Point유형과 Cover Pattern속성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 between Choke Point Types and Cover Pattern Properties in FPS Game Level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사용자중심의 게임분석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주목 받고 있는 게임개발 환경에서 플레이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레이어의 행동과 게임레벨간의 상호작용이 타 장르에 비해 높은 FPS게임에서 주된 레벨디자인 요소인 Choke Point 유형과 Cover Pattern속성의 관계가 레벨난이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Choke Point는 목표달성을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주요 길목이며, Cover Pattern은 건물을 제외한 레벨상의 물체를 말한다. 두 요소는 레벨 난이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대표적인 10종의 FPS게임플레이를 분석하여 Choke Point유형을 분류하고 4종의 Cover Pattern속성을 배치하여 16개의 실험대상 레벨을 구성하였다. 10명 플레이어의 5회 반복플레이를 통해 800개의 플레이어 행동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적 실험을 통한 분석결과는 게임레벨 디자인 단계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게임레벨 제작에 기여할 것이며 기존 학술적연구결과가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어 의의를 갖는다.

Accurate information on players, namely player analytics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a game development environment where a scientific approach to user-oriented game analysis is in the spotligh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effects of relations between choke point types and cover pattern properties on level difficulties in FPS games. As for FPS games, interaction between players' behaviors and game levels is higher compared to other genres and choke point types as well as cover pattern properties are key factors of level design. Choke point is the main crossroad that must to pass for achieving the goal and Cover Pattern is the type of object on the level except buildings. Two element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level of difficulty. This study analyzed 10 types of representative FPS gameplays to classify choke point types and assigned 4 types of cover pattern properties to organize 16 target levels for the experiment. In addition,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layers' 800 behavior data (video clips) from 5 repetitive plays performed by 10 players. In conclusion, analytical results obtained from the empirical study will contribute to realizing systematic game level development b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for a game level design phase. The findings are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s of utilizing the existing academic study result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본 론   2.1 Choke Point   2.2 Cover Pattern  3. 실 험   3.1 방법   3.2 결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최규혁(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Choi, GyuHyeok
  • 진형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진형우
  • 김미진(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김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