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 및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mployee's Innovative Performance: Climate for Creativity as a Mediator and Innovative Tendency as a Modera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6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 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Despite the important rol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Climate to achieve firms'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re has been limited empirical studies linki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climate in employee's innovative performance.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employees of R&D department in IT services. This paper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climate and moderating role of employee's innovative tendency in this relationship. Main findings of our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Whil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perform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creative climate had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performance. As expected, we also found that the creative climate had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performance. Also, the innovative tendenc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hil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th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
 Ⅳ. 연구 방법
 Ⅴ. 데이터 분석 및 가설 검증
 Ⅵ. 결론 및 시사점
저자
  • 김영명(kt 융합기술원 임원상무) | Young-Myoung Kim
  • 안효영(kt 융합기술원 연구지원담당) | Hyoyoung Ah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