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후기 영남지역 鄕戰의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Hyangjeon(鄕戰, confrontation between local powers) in Yeongnam area of late Joseon

조선후기 영남지역 향전의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964
  • DOIhttps://doi.org/10.14381/NMH.2014.09.30.43.1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향전은 英祖대 이전부터 기존 사족간의 당파적 대립에서 시작된다. 이런 갈등으로 인해 사족층의 지배질서가 균열을 보이자, 그 틈새를 비집고 신흥세력들이 鄕權에 참여하면서, 향전이 점차 신․구세력간의 갈등의 모습까지 덧씌워진다. 영남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사족층의 지배질서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지만, 고을에 따라 사족층의 지배질서의 강약이 달랐다. 지배질서가 약한 고을에서는 일찍부터 새로운 세력이 新鄕으로 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컸다. 또 영남을 좌․우도로 나누어 볼 때, 좌도보다는 우도가 향전이 더 심했다.영남지역 중 우도, 특히 경남 서부지역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南冥學派는 원래 大北의 입장을 취하다가 仁祖反正 이후 침체하면서 대거 南人화해 갔다. 게다가 南冥集판본 훼손사건 등 여러 사건을 거치면서 발생한 소외그룹이 西人化하면서, 남명학파 내부에 서인(老論)․남인의 당파적 대립양상이 점차 확산되었다. 이런 갈등은 진주 인근의 고을에도 영향을 미쳤고, 좌도의 여러 고을에서도 당파적 갈등으로 인한 향전이 전개되었다. 18세기 중반 이후 영남에서도 新鄕․舊鄕의 대립으로 인한 향전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때의 신향은 鄕案에 새로 진입하려는 같은 사족층이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후 영남에서는 수적으로 열세에 있던 신향들이 중앙의 老論세력의 지원 하에 자기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다른 계층의 세력을 끌어들이면서 서얼층이나 다른 계층의 진입도 점차 확산된다.17세기 말 18세기 중엽 향안을 둘러싼 대립과 파치 현상은 이전부터 향촌사회 내의 재지사족간의 당파적 대립이 격화되면서 일어난 것이었다. 이런 와중에 같은 사족반열에 있으면서도 향안에 입록되지 못한 인물들은 점차 중앙의 서인․노론세력의 지원에 힘입어 향안에 들어오게 되고, 이에 따른 분란이 신․구향의 향전으로 발전한 것이다.영남에서의 교원을 둘러싼 갈등도 일찍부터 기존 사족간의 당파적 대립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지만, 영조대부터는 신․구향간의 대립이 점차 부각되기 시작한다. 신향도 향교․서원에 대해서도 똑같은 참여를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通淸운동을 전개하던 서얼들도 교원에 참여하게 되면서 영남 각 고을에서도 기존 사족과 서얼간의 갈등이 격화된다.향임을 둘러싼 향전에서도 처음에는 기존 사족간의 당파적 대립으로 향전이 일어났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서 영남에서도 향임을 둘러싼 신․구향간의 향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런 향전은 19세기 말에는 사족층뿐만 아니라 향리층까지도 노골적으로 파벌을 형성하여 향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Hyangjeon started from confrontation between existing nobilities from before King Yeongjo. As there was some crack in ruling order of nobility groups due to such conflict, emerging powers participated in Hyangjeon, using such gap so that there also appeared conflict between existing power and emerging power. In Yeongnam area, ruling order of nobility groups was comparatively stable than other areas but according to village, strength of ruling order of nobility groups was different. There was high possibility for a new power to appear as a new local power in the village with weak ruling order. And from two areas of Yeongnam such as left and right Yeongnam, right Yeongnam showed severe Hyangjeon than left on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in right area out of Yeongnam areas, especially, in western area of Gyeongnam had originally a position of Daebuk(大北) but as they fell after Injo coup, they became near Namin(南人) in large scale. Furthermore, as several events like damage on woodblock-printed book of Nammyeong collection(南冥集)happened, neglected group by this became near Seoin(西人) so that confrontation between Seoin and Namin within Nammyeong school gradually expanded. Such conflict affected villages around Jinju. And Hyangjeon developed in several villages of Jwado due to conflict between nobility groups.After the 18th century, Hyangjeon due to confrontation between new local power and existing local power appeared in Yeongnam. But it seems that the new local power of then times was same nobility group who tried to be listed on nobility record newly. Since then, in Yeongnam, as inferior new local power won power in other class over to expand their power under central Noron(老論), entry of concubine sons or other class gradually expanded.The phenomenon of confrontation and abrogation surrounding nobility record i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rough middle of the 18th century was caused by confrontation between nobilities in local society. In this midst, figures in the nobility class but were not listed on nobility record were supported by central Seoin and Noron. As a result, they were listed on the record so that this developed to Hyangjeon between new power and existing power. The conflict surrounding Confucian school and Confucian academy in Yeongnam had developed to confrontation between existing nobilities from early time. From reign of King Yeongjo, confrontation between new local power and existing local power began clearly. New local power asked for equal participation about Confucian school and Confucian academy. As concubines sons who did Tongcheong(通淸, aboli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movement participated in Confucian school and Confucian academy, conflict between existing nobility and concubines sons became severe in each village in Yeongnam.There was Hyangjeon surrounding Hyangim(鄕任, post in local community) due to confrontation between existing nobilities in the beginning. But in the late period, Hyangjeon began to appear between new local power and existing local power surrounding Hyangim in Yeongnam.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the nobility but also lower official group formed faction plainly and then, participated in Hyangjeon in proactive way.

목차
Ⅰ. 머리말
 Ⅱ. 영남 향전의 분석을 위한 전제
 Ⅲ. 영남 향전의 주체
  1. 기존 사족층 간의 갈등
  2. 신구향 간의 대립
 Ⅳ. 영남 향전의 매개물(배경) 또는 대상
  1. 향안과 관련된 향전
  2. 향교․서원을 둘러싼 향전
  3. 향임을 둘러싼 향전
 Ⅴ. 맺음말
저자
  • 김준형(경상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겸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Kim, Junh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