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요소의 역사지리적 특징 비교 고찰 KCI 등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Famous Mountain Culture Elements of Mt. Jiri and Mt. Hal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972
  • DOIhttps://doi.org/10.14381/NMH.2014.06.30.42.2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지리산과 한라산의 명산문화를 이루는 요소를, 산천제, 명산·진산, 삼신산, 여신설화, 풍수문화와 백두산래맥설의 주제를 들어 역사지리적으로 비교하여 특색과 정체성을 도출한 것이다. 지리산은 신라 때부터 남악으로서 국가적 제의 대상이었고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도 지속되었다. 반면에 한라산 제의는 17세기 후반에 본격화되고 18세기 초에나 祀典에 등재되어, 지리산에 비해 시기도 늦었을 뿐더러 格도 고을 제의로서 낮았다. 지리산은 조선초·중기에 도(전라·경상)의 명산이자 고을(구례)의 진산으로 지정된 바 있었다. 상대적으로 한라산은 줄곧 고을의 명산이자 진산이었다. 한라산은 제주목의 진산에서부터 주변 고을의 진산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에게 지리산과 한라산은 공히 동국의 명산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조선후기에 와서 한라산이 나라의 명산으로 격상된 것은 국가·사회적으로 고양된 영토·영역 의식, 중앙정부의 통치지배력 강화, 그리고 삼신산으로의 위상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 삼신산으로서 지리산과 한라산도 시기와 대상에서 차이가 났다. 방장산은 조선초기부터 거의 단일하게 지리산으로 지칭되었으나, 영주산은 조선초기에는 변산으로 지칭되다가 17세기 초반 무렵부터 한라산으로 굳어졌다. 한라산이 삼신산의 하나로 알려지면서 명산으로서 위상은 크게 제고되었다. 지리산의 성모천왕과 노구, 한라산의 설문대할망은 모성의 상징이미지를 지니지만, 각각 어머니신과 할머니신으로 상징적 의미에 차이가 났다. 이는 지리산과 한라산에 대한 지형경관 및 생활터전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도 해석될 수 있다.지리산권역에서 풍수의 영향력은 깊고 컸지만, 한라산권역에서는 조선중기까지 미약하였다. 지리산권역의 마을에는 풍수형국론이 문화생태적인 영향을 크게 미쳤지만, 한라산권역에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조선후기에 지리산과 한라산의 白頭山來脈說은 조선후기적 명산문화의 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geographical backgrounds and elements of the Famous Mountain Culture between Mt. Jiri and Mt. Halla from the historical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characters and identities of these traditional famous mountain culture are as follows,Mt. Jiri became the subject of national rite as one of the Five Mountain(the South Mountain) from the Silra Dynasty, this rite was continued to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Mt. Halla started the Mountain rite in the second half of 17C, it means the time of the rite is late, and status is low as the county level. The Key word of the Famous Mountain Culture of Mt. Jiri and Mt. Halla is Samsinsan(Three God Mounatain). Mt. Jiri was called as the Bangjangsan from early of the Joseon Dynasty, but Mt. Halla called as the Yeongjusan from the early of the 17C, after Mt. Byeon in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The status of Mt. Halla became high as being regarded broadly to the people as the Samsinsan(Yeongjusan). The common point of the folk belief was female myth in Mt. Jiri and Mt. Halla. Sacred King Mother and Nogu of Mt. Jiri and Seolmundae- halmang of Mt. Halla have symbolic image of maternity.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on the personified landscape image, the symbolic meaning of two mountains are different, as the Mother God to the Mt. Jiri and Grand Mother God to the Mt. Halla. It could be caused by characteristic relation of the people with the two mountains in the aspects of topographical landscape and life ground. The character of Mt. Jiri and Mt. Halla regions are different in the fengshui culture. The influence of fengshui culture in Mt. Jiri region was strong, but it was weak in Mt. Halla region. The cultural ecological influence of fengshui landscape theory in Mt. Jiri region was abundant, but it was rare in the Mt. Halla region. Tow Mountains were emphasized the linkage relationship with Mt. Baekdu, it was another character of famous mountain cultur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저자
  • 최원석(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인문한국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Choi, Won-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