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uzzy AHP 기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내수침수위험도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Inland Inundation Risk in Urban Area using Fuzzy AH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특성을 고려한 내수침수위험도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의사결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Fuzzy AHP 기법을 활용하였다. 내수침수 위험도의 평가기준으로는 물리적 지표, 사회적 지표, 그리고 내수침수 시나리오 결과 등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평가기준은 3개의 세부평가항목을 가지고 있어 총 9가지의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행정구역 단위가 아닌 배수시스템의 노드(맨홀)를 기준으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여 침수위험도가 높은 지점을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부산시 거제지구에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결과, 온천천 거제천 합류부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과거 피해이력과 일치하는 것이다.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본 연구결과는 내수침수 위험도 산정 및 고위험도 지역의 내수침수 저감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ed how to evaluate the inland inundation ris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land flood. Fuzz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ich can deal with the uncertainty or ambiguousnes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was used to estimate the inundation risk. The criteria used for inland inundation risk include the physical index, social index and inland flood. Each index contains three detailed indicators then total nine indicator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inundation risk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each node (manhole) within the drainage system, not to the administrative extent, which enabled us to point out nodes with high risk. The proposed Fuzzy AHP was applied to Geoje district in Bus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junction of Oncheoncheon and Geojecheon has high risk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is junction has already experienced floods in the pas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for evaluating inland inundation risk and preparing flood prevention plans in inland flood-prone urban area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방법   2.1 Fuzzy AHP 기법   2.2 내수침수 위험도 산정을 위한 평가요소 도출  3.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내수침수 위험도 산정   3.1 대상지역   3.2 Fuzzy AHP를 이용한 가중치 산정   3.3 내수침수 위험도 산정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신지예(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Shin, Ji Yae
  • 박예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석사과정) | 박예준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부교수) | 김태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