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단 고설베드재배 수박의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ies of Watermelon Grown on Two-Story High Bed on Fruit Qu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딸기의 2단 고설베드재배가 끝난 여름철 동안 수박재배 시,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수박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고설 베드상자는 길이 102cm, 폭 22cm, 높이 13cm의 규격이고, 배지는 코코피트(coir)를 사용하였다. 수박은 베드 위치 및 재식밀도에 따라 베드상단 1주(A), 베드 상하단 각 1주로 상단(B) 및 하단(C), 상하단 각2주로 상단 2주(D), 하단 2주(E)로 정식 처리하였다. 수박은 2012년 5월 8일에 2단 고설베드에 정식하여 양액과 점적관수로 재배하였고 7월 25일에 수확되었다. 수박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과실 무게와 크기를 조사하였고, 과육 내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당도 및 산도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과실의 외관 품질인 과고, 과폭 및 과중은 A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특히 과중은 A, B, C, D, E처리 순으로 무거웠다. 식물체의 초장이나 엽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 직경과 엽면적은 A처리가 유의하게 컸다. 수박 과육 내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산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도는 A, B 및 D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놀화합물 함량은 A처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과의 수박 생산을 위해서는 A처리, 소과의 수박 생산에는 D와 E의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ies of watermelon grown on two-story bed on fruit quality in summer season (strawberry resting period).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a bed were 22, 102, and 13 cm and the medium in bed were used coir. Watermelon was 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bed position and planting density, one crop planting per one bed (A), upper bed (B) and lower bed (C) as one crop planting per one bed, upper bed (D) and lower bed (E) as two crop planting per one bed, respectively. Watermelons (Citrullus vulgaris Schard) were planted on two-story bed on May 8 and grown by drip irrigation and nutrient solution, and harvested on July 25. To compare quality of watermelon, fruit weight and size were measured, and analyzed phytochemicals as ascorbic acid, flavonoids, phenolic compounds, sugar content and acidity. External fruit quality as fruit height, fruit thickness and fruit weigh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A. In particular fruit weight was heavier in order of treatment A, B, C, D, and 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according to treatments, however stem diameter and leaf area were greater significantly in treatment A.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s to flavonoid, antioxidant activity and acidity in flesh fruit. While sugar contents in fruit were higher significantly in treatment A, B, and D. Phenolic compounds in frui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A. Th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reatment A is suitable for producing big size watermelon, and Treatment D and E are an advantage for producing small size watermelon.

저자
  • 최효길(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o Gil Choi
  • 문병용(인제대학교 생명과학부) | Byoung Yong Moon
  • 권준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Joon Kook Kwon
  • 박경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Kyoung Sub Park
  • 강동현(국립농업과학원 에너지환경공학과) | Dong Hyeon Kang
  • 정호정(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Ho Jeong Jeong
  • 조명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Myeong Whan Cho
  • 강남준(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 Jun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