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liot’s Poetics of Symbol and Four Quartets KCI 등재

엘리엇의 상징시학과 『네 사중주』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0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T. S. 엘리엇의 후기 작품들은 그의 기독교적 세계관, 구원적 시간(역사) 관, 상정시학의 깊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초기의 허무주의적 세계관을 극복한 엘리엇윤 파편화된 현대적 삶은 절대자에 대한 믿음을 복원함으로 써만 치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구원적 세계관에 부합하는 시적 언어로 서 엘리엇은 조화, 유기성, 통일성을 담지하고 있는 상정을 중요시 한다. 엘리엇의 상정시학은 감정과 지성, 주관과 객관, 표현과 내용의 통일을 강 조하는 그의 통합된 감수성, 객관적 상관물 이론 둥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고 있으며, 또한 단테에서 보들레르에 이르는 형이상학적시 전통을 재해석 하는 1926년 클라크 강연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시간의 측면에서 엘리엇의 상징시학은 순간과 영원의 교차를 중시하며 이 주제는 그의 후기 장시인 「네 사중주』 에서 기존의 직선적 혹은 순환적 시간관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 시에서 엘리엇은 현대성의 지배적 역사관인 진보의 서 사와 그 자신의 초기 허무주의 역사관을 지양하고, 동 시대의 영국을 순간 과 영원이 교차하는 시/공간으로 다시 읽음으로써 그의 후기 상징시학과 구원적 역사관의 통합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
  • Hongseop Lee | 이흥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