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공간에서 전기음향 시스템에 따른 음향특성 변화 KCI 등재

The Effect of Sound Reinforcement Systems on the Acoustics of a Large-Span Spa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5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공간구조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ND SPATIAL STRUCTURES)
한국공간구조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초록

본 연구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대공간에서 스피커 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음장의 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의 음향특성변화는 실의 흡음력과 동시에 스피커 시스템의 지향성, 설치높이 및 개수를 조절하면서 예측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명료도 관련 지표인 D50 및 RASTI는 실의 흡음력 증가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초기감쇠시간은 흡음력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저 고주파수대역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거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잔향시간은 전체주파수대역에서 실의 흡음력 증가에 따라 감쇠하였으나 주파수대역별 결과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실의 음향특성이라기 보다는 감쇠구간의 비선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피커 시스템의 적용에 따른 분석결과, D50 및 RASTI는 실의 흡음력 증가에 크게 상관없이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fair'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스피커의 설치위치가 높을수록 실의 흡음력 증가보다 스피커 지향특성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피커의 설치위치가 낮을수록 실의 잔향시간은 더 짧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스템의 적용에 따른 잔향시간은 스피커 설치높이가 높을 경우 실의 흡음력 증가에 비례하여 감쇠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스피커 설치높이가 낮은 경우 흡음력 증가에 의한 영향보다 시스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work investigate the effect of sound reinforcement systems on the acoustics of a large dome stadium using a computer simulation. The acoustics of a dome stadium was predicted analyzed by varying room absorption,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of speakers including their directivity, installed height, and numbers. It was found that both D50 and RASTI were improved by increasing room absorption. Larger EDT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oom absorption at mid and high frequencies. On the other hand, R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anges in room absorption, which might be the effect of a forced linear fitting for non -linear energy decay process. With respect to the speaker configurati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a sound reforcement system installed at higher placed more relied upon their directivity rather than room absorption, Also, lower placing of speaker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RTs regardless of room absorption.

저자
  • 정대업(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Jeong, Dae-up
  • 주현경(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 주현경
  • 최영지(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교수, 공학박사) | 최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