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돔 구조물의 지진응답 제어를 위한 TMD의 적용 KCI 등재

Application of TMD for Seismic Response Control of Dome Stru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6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공간구조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ND SPATIAL STRUCTURES)
한국공간구조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대공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돔 구조물에 대한 동조질량제어장치(TMD)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돔 구조물의 기본적인 동적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간단한 구조이기도 한 스타 돔 구조물에 수동형 TMD를 설치하여 지진응답 제어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BC2009에 따른 인공 지진하중을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으로 가하여 스타 돔 구조물에 대한 지진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TMD의 설치에 따른 스타 돔 구조물의 지진응답 제어성능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지진하중의 방향에 반응하는 스타 돔 구조물의 진동모드 분석을 통하여 수동 TMD를 설치하는 것이 지진응답 제어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Vibration control devices are classified into passive, semi-active and active device. TMD(Tuned Mass Damper) is one of the passive control device that is mainly used to reduce vibration level of building structure and bridge structur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passive tuned mass damper(TMD) to seismic response control of dome structures has been investigated. Because star dome structure has primary characteristics of dome structures, star dome structure was used as an example dome structure that is subjected to horizontal or vertical seismic loads. From this numerical analysis, it is shown that seismic response are influenced by vibration modes and it is reasonable to install TMD to the dominant points of each mode. And it is found that the passive TMD could effectively reduce the seismic responses of dome structur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대공간 구조물의 내진성능 확보방안   2.1 대공간 간구조물의 지진동 제어   2.2 대공간 구조물의 제진장치  3. 돔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TMD의 적용   3.1 예제 구조물의 동적특성   3.2 예제 구조물의 가진 지진하중   3.3 예제 구조물의 지진응답 분석  4. TMD 설치 위치 및 거동 방향에 따른 지진동제어 성능   4.1 예제 구조물의 TMD 적용   4.2 TMD 설치에 따른 지진응
저자
  • 김기철(서일대학 건축과, 조교수) | Kim, Gee-Cheol
  • 강주원( 영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강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