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명의 분광분포 형태 따른 칼라 어피어런스 및 색 감성 변화 연구

Color appearance and color emotion depending on spectral power distribution of illumin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6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본 논문에서는 조명의 분광분포의 형태가 칼라 어피어런스와 색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색감성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5종류의 LED 분광분포를 조합하여 구성된 4 수준의 색온도를 갖는 20개의 LED 조명을 구성하였으며, 23개의 테스트 샘플을 선정하였다. 각 LED 광원의 연색성은 CRI-CAM02UC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물체색의 칼라 어피어런스는 CAM02UCS를 통해 도출하였다. 기존의 색감성 예측 모델인 Ou,Sato, Xin-Cheng모델을 이용하여 ‘능동적인-수동적인’, ‘무거운-가벼운’, ‘단단한-부드러운’, ‘따뜻한-시원한’ 색감성 스케일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Daylight 조명에 비해 LED 조명에서 red-green 색들은 채도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이는 테스트 샘플들의 감성을 더욱 ‘능동적이고’, ‘따뜻한’ 색은 더 따듯하게, ‘시원한’ 색은 더 시원하게 느껴지도록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LED 조명의 연색 특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공간의 색감성을 특정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본 논문에서 제시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 실제 조명 및 피험자를 이용한 감성실험을 통한 검증이 요구된다.

In this research, effects of the spectral power distribution of the LED light on color appearance and color emotion was investigated. 20 LED illuminants with 4 different color temperatures were simulated by combining spectral power distributions of 5 different color LEDs. 23 color patches were selcted as test colors. The color rendering of the test illumin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CRI-CAM02UCS and color appearance of each test sample was calculated using CAM02UCS. Existing color emotion models proposed by Ou, Sato, Xin-Cheng were used for calculating 4 color emotion scales; 'active-passive', 'heavy-light', 'hard-soft' and 'warm-cool'.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chroma of red-green colors was increased under LED illuminant compared to that under daylight. Such an color appearance change affected color emotion that color evoked more 'active' feeling and warm color become 'warmer' and cool color become cooler under LED illuminants. This experimental result suggests that LED lights can be used to induce specific color emotion. Further study is needed using real LED lights and human observers to prove this simulation result.

목차
1. 서 론
 2. 실험설계
  2.1. 테스트 조명의 분광분포 시뮬레이션
  2.2. 샘플 선정
  2.3. 색 공간 및 감성 예측 모델 선정
 3. 결과 및 분석
  3.1. 광원의 연색성 분석
  3.2. 색감성 변화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구본석(울산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 Bon-Seok Koo
  • 곽영신(울산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 Youngshin Kw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