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레이저 주사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동영상 및 3차원 영상 구현

Realization of Moving Picture and 3-Dimensional Images using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7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공초점 현미경은 시료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지 않고 살아있는 세포와 고정된 시료를 두께 100㎛ 범
위까지 측정하여 이미지화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이다.광원으로 파장이 488nm인 Ar-ion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USAF 타겟,형광비드 및 고정된 세포에서는 배율이 60x이고 개구수(NA :NumericalAperture)가 1.25인 대물렌즈를,살아있는 세포 분열 관찰에는 배율이 25x이고,개구수가 0.40인 대물렌즈를 각각 사용하여 레이저 주사 공초점 현미경을 구성하였다.조리개를 통한 빛만을 PMT로 검출하여 여기파장이 505nm이고, 발광파장이 515nm인 1.1㎛인 형광비드와,파장이 488nm인 빔이 입사할 때 575nm 파장의 형광을 방출시키는 PE(Phycoerythrin)로 표지(label)한 약 10㎛ 크기의 쥐의 면역세포에 대한 정보를 얻어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차원 영상을 얻었다.그리고 AMIR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삼차원 영상을 얻었으며,PE로 표지한 쥐의 한 종류인 Balb/c의 피부 암세포 분열의 단면 동영상을 구현하였다.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LSCM) is a useful tool for imaging thin optical parts in
living and fixed specimens ranging in thickness up to 100㎛ without cutting it physically. In this study, LSCM was composed by using the Ar-ion laser (λ =488nm) as a lightsource,a 60x(NA=1.25) microscope objective lens for a USAF target, fluorescence beads and fixed cells and a 25x(NA=0.40) microscope objective lens for live cell division. We obtained 2D images of fluorescence beads (size=1.1㎛, excitation λ =505nm and emission λ =515nm) and lymphocyte (approximate size=10㎛, excitation λ=488nm and emissionλ =575nm) of a mouse labelled by PE (Phycoerythrin) using Labview program through the exclusive detection of light passes the pinhole by PMT. And 3D images could be obtained by using AMIRA program.We also realized moving picture of cross-sectional images of skin cancer cell division of a mouse (Balb/c) by labeling PE.

목차
요 약
 Abstract
 1.서 론
 2.실험 장치 구성
 3.실험 및 토의
 4.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유미(울산대학교 물리학과) | Yumi Lee
  • 박세휘(울산대학교 물리학과) | Sehwi Park
  • 김석원(울산대학교 물리학과) | Sok W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