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년기 라이프 코칭에 관한 소고 KCI 등재

A Study on the Elderly Life Coaching for Successful Ag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0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추이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고령사회를 앞두고 노인문제로는 경제적 빈곤, 건강 악화, 역할상실, 고독감 등을 들 수 있으며,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에는 소득 및 경제적 안정의 욕구, 고용 및 직업적 기호에 대한 욕구, 안정된 주거환경에 대한 욕구, 신체 및 정신건강의 유지, 자립적 일상생활, 치료와 요양 등 건강에 대한 욕구, 여가 및 문화 활동에 대한 욕구, 사회적 관계의 유지와 사회참여에 대한 욕구, 지식 교육 및 기회훈련에 대한 욕구를 비롯한 복합된 다원성을 보인다.
이러한 노인문제를 라이프 코칭을 통해서(삭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삶의 균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노년기 자기관리를 통해 주변의 환경을 조절해 나가는 스스로의 능력과 노인을 위해서 질병, 재정, 인간관계, 여가, 개인의 성장과 역할 등에 대한 코칭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회복지실천 분야에서의 노인들의 욕구에 맞춰진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차별화된 코칭 기술들을 연구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공적 노후를 위해서 필요한 코칭으로 1)성공적 노후를 위한 Goal Skill 2)건강한 노후 준비를 위한 Reality Skill 3)노후 준비의 필요성 인식을 위한 Recognition Skill 4)상호작용적 노후를 위한 Options Skill 5) 안정된 노후를 위한 Will Skill 등 GRROW 모델(이희경, 2012)을 바탕으로 한 코칭 스킬을 제시하였다.

Korea's aging population trend is increasing at the fastest rate in the world. Emerging aging society and economic hardships can bring elderly poverty, poor health, role loss, loneliness, etc.
Intervening Seniors issues through Life Coach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critical to have a balance in life. Especially for the elders who are out of their own power and to control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old age disease, self-management, finances, relationships, recreation, etc. are needed for growth and the role of individual coaching.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and provide practical and effective coaching techniques tailored to the distinctive needs of older people in the social work fiel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coaching is necessary for Successful Aging: 1) for Successful Aging Goal Skill 2) Reality Skill preparing for a healthy old age 3) Recognition Skill awareness of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4) Options Skill 5) for interactive retirement 6) Will Skill etc. GRROW model for a stable retirement (Hŭi-gyŏng Yi, 2012) was proposed based on coaching skill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의 특성
  2. 노인의 욕구
  3. 노인문제
 Ⅲ.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코칭
  1. 노후 생활 설계
  2. 성공적인 노후 코칭
 Ⅳ.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준경(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조교수) | Kim, Joon-Kyo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