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과 아동 간 세대통합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선호도 KCI 등재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0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노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후 효과적인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2007년도부터 2009년도 까지 총 8회의 세대통합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노인, 아동, 원예치료사, 및 선생님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2007년도에의 프로그램 선호도는 유실수 심기, 상추 묘종 심기, 허브 심기, 토피어리 액자 만들기, 테라리움 만들기, 봉숭아 물들이기, 압화 액자 만들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2008년도에는 송편 만들기, 유실수 심기, 허브 분갈이, 매실차 만들기, 씨앗 엽서 만들기, 옥수수 수확하기, 상추 수확하기, 잡초 뽑기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도의 프로그램 중에서 찰떡 만들기, 보리 구어 먹기, 창포 머리감기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자심기, 상추 묘종 심기, 등산로 산책하기, 화단 만들기, 짚풀 공예, 감자 수확하기 등의 프로그램들도 좋아했다. 이와 같이 조사된 선호도를 바탕으로 초반부, 중반부, 후반부로 나누어 노인과 아동 간 효과적인 세대통합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초반부에는 유실수 심기, 감자 심기, 상추 묘종 심기, 허브심기, 등산로 산책하기, 압화액자 만들기 등을 활동을 통해 대상자 간 자연스러운 관계형성을 위해 쉬우면서도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중반부에는 송편 만들기, 보리구어 먹기, 화단 만들기, 상추 수확 및 삼겹살파티, 허브 분갈이, 토피어리 액자 만들기, 씨앗 엽서 만들기, 잡초 뽑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활발한 신체적 활동을 유도하고 협동심과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후반부에는 창포 머리감기, 찰떡 만들기, 테라리움 만들기, 봉숭아로 물들이기, 감자 수확하기, 옥수수 수확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수확의 기쁨을 느끼고, 노인과 아동 간의 교감을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 and then we proposed the effec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The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were conducted extend over 8 times from 2007 to 2009, and it evaluated the preference of HAP for the elderly, child, horticultural therapist, and kindergarten teacher. In 2007, the appraisers preferred the programs of planting the fruit trees, planting the lettuce seedling, planting the herb in pot, making the topiary frame, making the terrarium, dyeing with a balsam, and making the frame with pressed flower. In 2008, four appraiser preferred in order of programs such as making the rice cake(Songpyeon), planting the fruit trees, planting and repotting the herb, making a plum tea, making the seed card, harvesting the corn, harvesting the lettuce, and weeding in the field. In 2009, programs of making the glutinous rice cake, eating the baked barley, washing the hair with water infused in sweet flag, planting the potato, planting the lettuce seedling, taking a walk in the mountain trail, making the flower bed, making the article with straw, and harvesting the potato were preferred. The programs divided into three steps for effective horticultural activity is proposed based on preference survey. In early stage, it was composed with easy and simple programs, such as planting the fruit trees, planting the potato, planting the lettuce seedling, planting the herb in pot, taking a walk in the mountain trail, and making the frame with pressed flower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In middle stage, it was composed with programs, such as making the rice cake 'songpyeon', eating the baked barley, making the flower bed in kindergarten, harvesting the lettuce and roasting bacon, planting and repotting the herb, making the topiary frame, making the seed card, and weeding in the field to induce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to enhance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In last stage, it was composed with programs, such as washing the hair with water infused in sweet flag, making the glutinous rice cake, making the terrarium, dyeing with a balsam, harvesting the potato, and harvesting the corn to feel the rapport and the joy of the harvest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

저자
  • 김혜상(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학과) | Hye Sang Kim
  • 유용권(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학과, 목포대학교 자연자원개발연구소) | Yong Kweon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