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을 이용한 피부 기저층 멜라닌 밀도의 정량화 KCI 등재

Quantification of Melanin Density at Epidermal Basal Layer by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최근 여러 가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피부조직의 생검 또는 조직학적 처리과정 없이 피부의 실시간 이미지를 이용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 이미지는 830 nm의 근적외선 파장을 사용하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피부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화할 수 있으며, CSLM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비침습적인 피부 측정법으로 색소 침착 부위의 기저층과 진피 유두 사이에서 melanin cap, papillary ring과 같은 지표가 뚜렷하게 관찰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canning probe image processor (SPIP)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CSLM 디지털 이미지 정량 분석을 처음 시도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정성적 피부조직 이미지 데이터를 정량화함으로써 향후 CSLM 활용범위를 높이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on-invasive technologies in skin research have enabled to use a live image of living skin without a biopsy or histologic processing of tissue.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 operated at a near-infrared wavelength of 830 nm allows visualization of inner structure of skin as a non-invasive manner.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using CSLM, melanin cap and papillary ring were clearly observed in pigmented areas between stratum basale and papillary dermis. In this study, conversional analysis of CSLM digital images into numerical estimation using scanning probe image processor (SPIP) software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It is concluded that a quantification of CSLM images can pave way to expand the field of applications of CSLM.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실험   2.1. 연구 대상   2.2. CSLM 측정   2.3. UVB 조사에 따른 papillary ring 변화 측정   2.4.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Mexameter) 측정   2.5. CSLM 이미지의 정량적 분석   2.6. 상관관계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UVB 조사 후 Melanin 생성양의 정성적 변화 확인   3.2. Melanin cap 부위 melanin 양의 정량적 분석법 확립   3.3. Papillary ring 부위 멜라닌양의 정량적 분석법 확립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
저자
  • 김동현(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Kim, Dong Hyun
  • 이승호(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이승호
  • 오명진(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오명진
  • 최고운(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최고운
  • 양우철(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양우철
  • 박장서(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박장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