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확인시험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f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for Det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는 산화환원지시약으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산소 소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용해 후 무색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생리활성이 있는 조직에서는 탈수소 효소(dehydrogenases)에 의해 환원되어 빨간색의 불용성 1,3,5,-triphenylformazan (TPF)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 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faecium, Candida albicans)에 TTC 지시약을 활용하여 미생물 성장시험에 대해 확인하였다. 시험 균주에 TTC를 첨가하여 확인한 결과, 모두 탈수소효소 반응으로 인한 TPF 형성으로 붉은색 콜로니를 관찰하였다. 이후 TTC 0.04% 이상의 농도 및 12 h 이상 배양조건으로 최적화 실험 후 균주별 CFU 값을 통해 TPF 발현능을 확인하였다. 결국 TTC가 병원성 세균 및 효모균 성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배양 시 세균의 경우 12 h, 효모균의 경우 48 h 이후부터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TTC를 활용한 미생물 성장 확인 시험법이 더 신속 정확한 방법으로 화장품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is used as a redox indicator in culture media. It is colorless in the oxidized form and is reduced to formazan, an insoluble pigment, by dehydrogenases in actively growing microbial ce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by microbial test of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using TTC reduction.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reduced in medium by dehydrogenase to produce insoluble red formazan. We observed that the optimization method of TTC allowed more than 12 h incubation in 0.04% concentration. Also,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with media was increased formazan production. We confirmed that microorganisms were quickly observed to grow colonies cultured red color without affec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t is suggested that the microbial test using TTC can provide better and quicker test method in cosmetics development.

목차
 1. 서 론  2. 실험 방법   2.1. 사용균주, 배지 및 시약   2.2. TTC assay   2.3. 미생물 한도시험  3. 결과 및 고찰   3.1. TTC환원력에 의한 E. faecium의 TPF 관찰   3.2. 탈수소효소 반응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TPF 형성 확인   3.3. 미생물 성장 확인시험을 위한 TTC 염색의 최적화   3.4. 균주별 TPF 발현능 확인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강정욱(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Kang, Jung Wook
  • 배준태(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배준태
  • 연재영(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연재영
  • 김영호(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김영호
  • 김진화(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김진화
  • 이근수(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이근수
  • 표형배(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원) | 표형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