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활동이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독거노인 12명을 선정하여 3월 27일부터 7월 16일까지 매주 1회 1시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과 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측정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매회기마다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대상자 12명 중에서 11명이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보다 실시 후에 증진되었고, 평균값도 프로그램 실시 전 15.4점에서 실시 후 34.0점으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여 주었다.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도 대상자 12명 모두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보다 실시 후에 향상되었고, 평균값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실시 전 20.6점에서 실시 후 25.4점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원예활동 평가에서도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 등 9개 항목 모두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평균값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지지를 증대시켜주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원예활동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on the changes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solitary old adult. The 12 solitary old adults of welfare center for old adult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HAP). HAP were conducted one time per week from 27 March to 16 July.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HAP. And it was carried out to observe by horticultural activity evaluation every times. In change of social support, 11 old adults among subjects increased, but 1 old adult decreased.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was 34.0 after HAP, but it was 15.4 before HAP. Self-esteem of twelv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mean value of self-esteem scale was 25.4 after HAP, but it was 20.6 before HAP.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means of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s and vocational adjustment were improved after HAP than before HAP. Therefore, HA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in solitary old adul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오현자(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Hyeon-Ja Oh
  • 유용권(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Yong-Kweon Y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