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pplied with Herb Fragrance on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CI 등재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중학생의 우울증상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7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현대의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는 인간을 자연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시간을 가중시키고 있다. 청소년의 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 시기는 일생 중 신체적․정신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학교 생활 적응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청소년의 우울증상 증후군 감소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 생각되어 허브향을 도입하지 않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집단과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집단으로 나누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56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총 12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적용하였고, 이 프로그램은 학교 및 가정에서 실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고, 검사도구로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이전과 적용 이후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K-YSR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허브향을 도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우울증상 증후군과 관련된 위축, 우울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우울증상 증후군과 관련된 위축, 우울에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신체증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우울증상 증후군 하위척도인 위축․우울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허브향을 도입하지 않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학생의 우울증상 증후군의 하위척도인 우울, 신체증상, 위축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은 우울증상 증후군의 하위척도인 우울과 위축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나 신체증상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허브향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오늘날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중학생들의 우울 증세를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use of horticulture as a therapeutic tool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pression-reducing effects of participating in a horticultural program for the mental and psychiatric s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application of a selected herb fragrance a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a personality inventory, the Korean Youth Self Checklist (K-YSR) was used as an investigatory instrument adapted for Korean from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with words and structures paraphrased to fit the students' level so that they could react to the K-YSR direct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and without herb fragrance being applied. Students selected one of 15 commercial fragrances individually, which was applied at school and home,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horticultural activities. Melancholia in experimental group [I] on the post-test was shown to have a reduction from 10.07 to 9.14, compared with our control subjects(9.07). This main melancholia reduction effect measured in the post- test after participation in the horticultural program (experimental group [I]) as therapy was insignificant, F (1,18)=0.38, p=0.54(p >.01). Similar results of means on somatic symptoms and withdrawal, of pre- and post- test, i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horticultural program (experimental group [I]) also were insignificant.
However, psychological measures of pre- and post- test on experimental group [II], supplied with herb fragranc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and the results showed a melancholia reduction with means from 11.14 to 7.57, compared with pre-test without the application of fragrance, and identified as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s on melancholia was observed in the pre- and post- test relating to experimental group[II] (F(1,18) = 3.17, p = 0.09(p〈.01). Specifically, the treatment with 'withdrawal'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II] (F(1,18) = 4.85, p = 0.04 (p〈.01. However, effects on withdrawal of pre- and post- test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gram (experimental group[II]) were insignificant .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Ku Dal-Wan(Choenan Middle School) | 구달완
  • Lee Young-Hyun(Department of Biological resource and 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 이영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