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착미생물 혼합 유기질비료가 상추 및 배추 생육과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Mixed with Indigenous Bacteria on the Growth of Lettuce and Chinese Cabbage and Soil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7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혼합유기질비료는 대두박, 채금박, 어분, 철분, 골분 및 황토를 원료로 광합성 미생물 SA16 균주를 접종하여 pellet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1. 혼합 유기질비료 시용이 시설상추의 생육 및 토양의 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화학비료 3요소와 성분량이 동량인 혼합유기빌비료 90 kg/10a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주당 엽수는 2장 정도 많았고 뿌리길이도 2cm 정도 길었으며 생체중은 51% 증수되었다. 혼합유기질비료 시용량별 수확량은 45>90>135 kg/10a 순으로 많았고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최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시용량은 73kg/10a로 나타났다. 상추수확량에 대한 소득 분석결과 혼합유기질비료 90 kg/10a 처리구에서 소득이 37% 증가되었고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는 혼합유기질비료를 73 kg/10a를 시용하면 소득이 41%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수확 후 토양 용적밀도는 혼합유기질 비료 90 kg/10a 처리구가 1.09 g/㎤로 가장 낮았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의 용적밀도가 1.19 g/㎤로 가장 높았다. 공극율은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가 58.8%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가 55.0%로 가장 낮았다. 토양 염류농도는 혼합유기질 비료 45 kg/10a을 제외하면 시험전 EC 농도 1.35 dS/m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높아졌다. 특기할 사항은 토양의 NH4-N 함량으로 화학비료를 시용한 대조구에서 43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구간에는 10 mg/kg 내외로 차이가 없었다.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 따른 토양중 호기성세균의 분포는 혼합유기질 비료 90 및 135 kg/10a 처리구가 12.4, 및 12.8×106 CFU/g로 가장 높았으며, 생육기보다 수확기의 호기성세균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곰팡이수의 분포는 생육기에 혼합유기질 비료 90 kg/10a 처리구가 0.74×104 CFU/g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으며, 수확기의 곰팡이 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혼합유기질 시용이 얼갈이 배추 생육 및 토양의 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얼갈이 배추의 포장 시험재배에서 엽수, 엽폭, 지하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지하부 건물중 등은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구가 대조구인 퇴비구와 화학비료구보다 생장량이 양호하여 수량은 퇴비구에 비해 7.6%, 화학비료구에 비해 181% 증가하였다.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서 통계적으로 F-test에서 유의한 형질은 지상부 생체중과 지상부 건물중이었고, LSD 0.05에서는 엽폭이 유의한 차를 보였다. 광합성 미생물 Rhodobacter azotoformans의 개체수는 105개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수확 후 토양 중 개체수는 1.93×104 CFU/g으로 나타나 세균의 토양 토착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velopment of mixed organic fertilizer using photosynthetic bacteria. The mixed organic fertilizer using SA16 application in Ihyeon series (Coars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Dystric Fluventic Eutrochrepts) was treated to organic fertilizer 45, 90, 135 kg/10a and control in lettuce (Lactuca sativa L.). B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45 and 90 kg/10a, the yield was higher 18~19% than that of control, respectively.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the porosity of organic fertilizer 90 kg/10a treatment was highest 58.8%. The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in Cheongweon series (Fine silty, mixed, nonacid, mesic, Aquic Fluventic Eutrochrepts) was treated to organic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and compost i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at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t 40 kg/10a was higher 181% than that of control. Also, the population of Rhodobacter azotoformans in soil after harvest was highest as 1.93×104 CFU/g at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저자
  • 정한택(경상대학교 대학원) | Jeong Han Taek
  • 허무룡(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uh Moo Ryong
  • 박중춘(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Park Joong Cho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