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Applied by Natural Sound on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KCI 등재

자연음악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고등학생의 우울증상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7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자연음악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상 증후군에 관련된 증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M고등학교 1학년 30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총 10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적용하였고, 이 프로그램은 학교 및 가정에서 실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이전과 적용 이후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K-YSR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통계적 검증은 분산분석(ANOVA)으로 F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로 자연음악을 도입하지 않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고등학교에게 적용한 결과 우울증상 증후군과 관련된 위축, 우울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신체증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둘째로 자연음악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우울증상 증후군과 관련된 위축, 우울에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신체증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셋째로 자연음악을 도입하지 않은 원예치료 프로그램과 자연음악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과는 평균에 있어서 자연음악을 도입한 프로그램이 다소 효과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원예치료만 실시한 프로그램과 자연음악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모두 오늘날 입시, 친구관계, 학교생활 그리고 가정 등에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우울 증세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For teenagers, the burden of entering university, especially in Korea, the stress concerned with their transition development step may influence a cause of mental and psychiatric inadapt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two group applied with (experimental group [II]) and without (experimental group [I]) natural sound. To verify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a horticultural therapy with or without natural sound, a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was selected before anything else. The program was made to be carried out at school and home, and was provided for the target in stages 10 times.
Personality inventory was used Korean Youth Self Checklist (K-YSR) as an inspecting instrument adapted into Korean from Child Behavior.
The analytical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With relation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 applied without natural sound, a reduction from 7.80 to 5.50 compared with pre-test was significant in withdrawal. Similar results of means on melancholia were significant as a reduction from 9.40 to 7.00. However, results of means on somatic symptom were shown insignificant.
2) In results of experimental group [II] applied with natural sound between control groups, withdrawal of post-test was shown a reduction from 7.20 to 5.10 compared with control, and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among which apparent effects was shown insignificantly on somatic symptom in experimental group [II], but mean on melancholia of pre- and post- test was shown a reduction from 10.30 to 6.30, and was significant,

저자
  • Lee Myong-Cheol(Mallipo High School) | 이명철
  • Lee Young-Hyun(Division of Life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이영현
  • Ro Myoung-Lai(Division of Educational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노명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