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국외 도시농업 사례분석 KCI 등재

Case Analysis of Foreign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for Improvement of Self-support Cap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에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도 시취약계층의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주거공 간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활동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시농업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도시빈민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소득창출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다. 도시농업 활동 은 장소와 종류, 대상자에 대한 범위도 초기와 달리 많이 확장되었 으며, 다원적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보고 있다. 특히 도시취약계층의 자활을 위해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적 응을 위한 일상적인 생활 기술까지도 교육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 인 자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여러 경로로 지원하고 있다. 도시농업 활동의 국외 사례를 자활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 과,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도시농업 활동은 일자리를 고려하고 대 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도시농업 활동에 흥미를 갖고 활동에 참여 하도록 심신의 회복을 돕는 치유형, 개인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비 지출 절약에 도움이 되는 자가소비형, 함께 도시농업 활동을 하면 서 지역사회와 교류하게 되는 사회관계형, 생산활동을 통해 수입과 일자리를 갖게 되는 일자리형으로 구분하였다.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능력 증진을 위해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적절한 활동과 지원을 적용하는 것이 필 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분된 도시농업의 유형이 자활능력 증 진을 위한 사업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technology for enhancement of self-support capability of vulnerable group and driving the types of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as analyzing foreign cases in which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were used for self-support. There are a lot of cases that the urban agriculture has been used as an approach for food safety and generating income. Places, types and range for the subject of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have been taken up much than they were, and it has been getting various results from multi-functionality.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have been in particular teaching not only technical training for self-support of vulnerable group but also life skills for adopting themselves to society. In addition, they have received support in several ways from communities for keeping self-support. As the result of analyzing foreign cases of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depending on self-support,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have been divided into healing type that helps one’s mind and body recover for participating in activities with interest depending on how much self-support capability the subject has and considering job, self-consumption type that helps one’s health eating and food expenses cut down, social relation type that one interacts with communities while doing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and occupation type that one has a job and incomes through production activities.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put proper activities and supports depending on how much self-support capability the subject has for improvement of self-support and actual applying. Then, we expect that if the divided urban agriculture types are applied to a project for improving self-support, the project will work effectively.

저자
  • 이숙미(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대학 바이오환경과학과) | Sook Mee Lee
  • 김인호(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In H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