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설과채류 재배지에서의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조사 및 살선충제를 이용한 밀도억제 효과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8660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국내 시설과채류 재배지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과채류 재배지 규모가 대형화 되면서 동일한 장소에서 연작년수가 길어지고, 연중재배의 원인에 의해 토양 내 식물기생선충의 밀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증 가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과채류 재배지에서 분포하는 식물기생선충 의 발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4월부터 9월까지, 공주, 논산, 부여, 진주, 곡 성 일대에서 오이, 딸기, 메론 재배지를 대상으로 식물기생선충의 발생현황을 조사 하였다. 식물기생선충의 경우 전체 토양시료 34개 가운데서 29개에서 검출되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토양시료에서 식물기생선충이 발행한 것을 확인하였고 토양 내 발생한 식물기생선충의 종으로는 Meloidogyne spp., Pratylenchus spp., Helicotylenchus spp., Aphelechoides spp., Ditylenchus spp.등의 발생을 확인하였 다. 각 지역별 토양에 5가지 약제처리 전후의 평균밀도를 살펴본 결과, cadusafos 3%와 dazomet 98%의 경우 부여, 논산 지역의 토양에서 Pratylenchus spp.에 대해 100% 살선충효과를 보였으며, 진주 지역의 토양은 cadusafos 3%만이 Pratylenchus spp.에 대하여 100% 살충효과를 보였다. 곡성, 공주 지역의 토양에서 도 모든 약제에 대해 식물기생선충의 평균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
  • 박상은(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김세희(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고나연(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김정곤(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신효섭(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권혜리(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서미자(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유용만(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윤영남(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