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외 실험 수조에서 추정한 연못하루살이(Cloeon dipterum) (Ephemeroptera: Baetidae)의 발육 유효적산온도 KCI 등재

Estimation of Accumulated Degree Day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loeon dipterum (Ephemeroptera: Baetidae) in an Experimental Tub Under Field Condi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17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연못하루살이의 성장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를 구하고 자 2011년 8월 7일부터 10월 10일까지 야외에 설치한 실 험 수조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수조 설치일로부터 4일 경과 후 수면에서 죽은 암컷 성충 한 개체가 발견되 어 산란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산란추정일 로부터 39일째부터 성충이 우화하기 시작하여 61일째에 마지막 개체가 우화하였다. 우화한 성충은 총 229개체였 고, 성비(암컷 수/전체 수)는 0.45로 수컷이 많았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05), 전체적으로 수컷 이 먼저 우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저 발육임계온도를 0􀆆C로 하여 유효적산온도를 산출한 값은 1,221.8±116.0 DD였으며, 대조습지의 연간 유효적산온도가 5,650.0 DD 임을 고려할 때, 연못하루살이는 본 연구결과를 적용할 경우 야외 서식처에서 최대 1년 4세대의 생활사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We aimed to estimate the accumulated degree day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loeon dipterum (Ephemeroptera: Baetidae) in an experimental tub under field conditions from August 7 to October 10 in 2011. After 4 days in a tub setting, a dead female adult was found on the water surface at which oviposition had presumably occurred. Adults emerged from 39 days to 61 days after the oviposition date. The total number of emerged adults was 229, and the sex ratio (number of females : total population) was 0.45,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males generally emerged earlier than females. Assuming that the basal temperature (Tb) value is 0􀆆C, we estimated the number of accumulated degree day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 dipterum to be 1,221.8±116.0DD(mean±SD). Since the annual number of accumulated degree days in the reference wetland was measured to be 5,650.0 DD, we estimated that C. dipterum is multivoltine, with a maximum of 4 cohorts in 1 year in natural habitats.

저자
  • 이차영(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Lee, Cha Youn
  • 김동건(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Dong Gun Kim
  • 최락중(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Lak Jung Choe
  • 백민정(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Min Jeong Baek
  • 윤태중(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 Tae Joong Yoon
  • 배연재(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Yeon Jae Ba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