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 서부지역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영급 및 지역별 지하부 탄소저장특성 KCI 등재

Belowground Carbon Storage by Stand Age Classes and Region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Cork Oak (Quercus variabilis) Stands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29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소나무 및 굴참나무 임분의 지하부 탄소저장량과 영급 및 지역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경남 서부 7개 지역(고성군, 하동군, 진주시, 산청군, 의령균, 하동군, 사천시)을 대상으로 각 영급별(Ⅲ: 평균 30년생;Ⅴ: 평균 50년생; Ⅶ: 평균 70년생)로 20 m × 20 m 크기의 조사구 18개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구를 대상으로 2010년 10월 낙엽층 및 토양 0-50 cm 깊이의 탄소함량 및 저장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두 수종 모두 Ⅶ영급이 가장 높았으나 영급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낙엽층 탄소농도와 탄소저장량도 두 수종 모두 영급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지역별 토양 탄소저장량은 소나무 임분의 경우 진주시가 18.13 Mg C/ha로 가장 낮았고, 하동군이 143.72 Mg C/ha로 가장 높았으며, 굴참나무 임분은 의령군이 21.92 Mg C/ha로 가장 낮았으나, 사천시는 119.9 Mg C/ha로 가장 높아 지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낙엽층 탄소저장량의 경우도 소나무 임분의 경우 의령군이 가장 낮았고 산청군이 가장 높았으며, 굴참나무 임분은 사천시가 가장 낮았고, 고성군이 가장 높아 지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남 서부지역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지하부 탄소저장량은 영급보다는 지역 간의 차가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forest carbon storage by stand age classes and regions from two dominant tree species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cork oak (Quercus variabilis)] stands in the Western Gyeongsangnam-do in southern Korea. Eighteen 20 m × 20 m plots from nine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nine cork oak (Quercus variabilis) natural stands were established with three stand age classes (Ⅲ: about 30-year-old; Ⅴ: about 50-year-old; Ⅶ: about 70-year-old) located in seven regions (Gosung-gun, Hadong-gun, Jinju-shi, Sancheong-gun, Uiryoung-gun, Hadong-gun and Sacheon-shi). Forest floor and soil organic carb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randomly selected points in each plot during October 2010. Soil carbon storage of red pine and cork oak stands was generally higher in the Ⅶ stand age class stands (red pine: 97.84 Mg C/ha; cork oak: 87.6 Mg C/ha) than other stand age classes. However, forest floor carbon storage of red pine and cork oak stan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e stand age classes. Soil carbon storage of red pine stands by reg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adong-gun (143.72 Mg C/ha) than in Jinju-shi (18.13 Mg C/ha), while those of cork oak st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cheon-shi (119.9 Mg C/ha) than in Uiryoung-gun (21.92 Mg C/h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elowground carbon storage in red pine and cork oak stands could be attributed to a spatial variation such as regions rather than stand age classes.

저자
  • 주남규(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Nam-Gyu Ju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Kwang-Soo Lee
  • 손요환(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Yowhan Son
  • 김래현(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Rae-Hyun Kim
  • 손영모(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Yeong-Mo Son
  • 김춘식(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oonsi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