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상기후변화가 낙동강 유역의 수문·수질요소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Responses to Precipitation Extremes in Nakdong River Bas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36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가뭄, 홍수와 같은 이상기후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강우 시나리오기반의 장기유출 유역모의를 통해 지표유출과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가뭄년도에서는 지표유출량 감소에 따라 오염부하량 감소현상을, 홍수년도에는 강우유출 증가에 따른 부하량 증가를 나타냈으나, 상류유역의 댐 직·하류와 같은 특정유역에서는 가뭄 시 댐 운영으로 인한 방류효과와 토양수분량의 변화 등의 물리적 요인들로 인해 SS부하량의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가뭄에 따른 SS의 농도변화는 유량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뭄년도의 평수량 및 갈수량 시기에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고 T-P는 상대적으로 본류구간보다는 유량이 비교적 적은 지류구간에서 높은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반면, 홍수년도의 경우 SS와 T-P 모두 기준년도와 유사한 농도범위에서 완만한 형태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유출량이 적은 건기 시에는 SS 부하량 유출도 감소하지만 유출량이 증가할수록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T-P의 경우 건기 시에 부하량 유출이 크고 강우 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여 건기일수와 강우패턴에 지배적으로 각기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SWAT model is applied to simulate rainfall-runoff and pollutant loading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s the condition for extreme droughts and floods. The year 1994 and 2002 are chosen as the drought and flood year, respe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past rainfall data for 30 yea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decreases in both runoff and pollutant loadings for the drought year but increases for the flood year. However, the pollutant loadings on some upper sub-basins increase for drought year due to highly-regulated dam discharge and soil moisture change. Collectively, extreme droughts and floods have negative impacts on water quality, showing elevated SS loadings during wet season and concentrated T-P concentrations during low flow season. The extent of these impacts is highly influenced by antecedent dry days and precipitation patterns.

저자
  • 안종호(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부연구위원) | Ahn, Jong Ho 교신저자
  • 장재호(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초빙연구원) | Jang, Jae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