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숙인 자활증진 커뮤니티가든 프로그램을 위한 국내 노숙인의 특성 및 현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KCI 등재

Research Tren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ndition of Domestic Homeless for Self-supportive Community Garden Progr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1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노숙인들의 자활증진을 위한 커뮤니티가든 프로그램 시행을 위해 노숙인에 대한 이해와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노숙인은 IMF라는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의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경제상황이 좋아지면 사회에 복귀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노숙인의 수는 줄지 않고 있다. 노숙 인은 일반인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 장애의 유병률이 높은데, 건강 은 자활의지와도 연관이 있어 노숙인의 건강관리는 자활을 위해 매 우 중요하다. 노숙인의 지원 목적은 사회로부터의 격리가 아닌 사 회복귀이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일자리의 제공과 직업훈련이다. 노숙인에게는 생존권의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기초생활유지와 사 회통합을 위한 각종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다. 최근 노숙의 근본 원 인을 해결하고자 주거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원주택 에 지속적인 서비스의 결합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원주택에 커뮤티니가든을 도입하는 것은 노숙인들의 자활 증진을 위한 신체 적, 정신적 건강관리와 소통의 공간을 통한 사회성 향상, 직업교육 의 공간 제공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for understanding and getting the condition of the community garden program for improving self-support of the homeless. The homeless have got social concern upon foreign exchange crisis referring to IMF in Korea, they have not been reducing even if we thought that they could rehabilitate. The homeless person has higher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prevalence rate than ordinary person, so their health care is very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because health is related with will for rehabilitation. The purpose to support the homeless is to make them rehabilitate, not to make them isolate, and so the best method for it is to offer a work and a job training course. In the terms of a basic right of live, various services have been supporting to the homeless for basic living and social integration. While the supportive housing policy has been conducting for resolving the basic reason of sleeping out in the open recently, various services have been trying continually to link with supportive housing. Instituting the community garden to such supportive housing will offer to the homeless comprehensive service such as improving sociality and offering a space for job training through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and a space of communication for rehabili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자료의 유형 분류
  2. 노숙인의 특성 관련 연구동향
  3. 노숙인 시설 관련 연구동향
  4. 노숙인 관련 법제도 및 서비스 관련 연구동향
  5. 시설종사자 관련 연구동향
  6. 커뮤니티가든 활용 노숙인 자활증진 프로그램 적용을위한 시사점
 Ⅳ. 적요
 Ⅴ. References
저자
  • 이숙미(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Sook Mee Lee
  • 김인호(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In H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