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가 노인요양원 치매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Recuperation Centers for the Ag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1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알 아보기 위해 노인요양원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치매노인 16명을 대 상으로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할당하여 실험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서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치매 사정도구(MMSE-K) 을 사용하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은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 (K-MB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원예치료 프 로그램의 적용 전·후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 전, 후 의 군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통 계학적 유의수준은 a=0.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원예 활동을 활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노인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의 치료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the purpose, the study measu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argeting sixteen women with dementia who were living in nursery facilities. We used MMSE-K to analyse the perception, and evalua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using K-MBI.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a use of SPSS 12.0.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the study conducted a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est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 Mann0Whitney test was us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0.05.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inical interv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1) 선정기준
   2) 대상자의 특별한 사항
   3)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3. 연구도구
   1) 측정도구
    (1) 한국형 간이치매 사정도구(MMSE-K)
    (2) 한국판 일상생활수행능력 수정바델지수(K-MBI)
   2) 적용 원예치료 프로그램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통제군과 실험군 간 비교 결과
   1) 인지기능의 변화 비교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비교
 Ⅳ. 적요
 Ⅴ. References
저자
  • 임흥수(초당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Heung-Su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