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 효능 연구 KCI 등재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a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2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밝히는 것에 있다. 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tyrosinase 활성 및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양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봄맞이 추출물은 우수한 tyrosinase 억제 효능을 가지며 특히,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25μg/mL 농도에서 그 생성 억제율이 32%로 나타났고,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양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내에서의 미백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5μg/mL 농도의 봄맞이 추출물이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RP-1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봄맞이 추출물의 우수한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발견을 바탕으로,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효능에 대한 유전자 수준 또는 추가적인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뿐 아니라, 의약제품, 건강기능식품으로의 활용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a extract. To discover the anti-pigmentation effective, we investigated Androsace umbellata extract on tyrosinase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As results, it reduc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in B16F1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decreased to about 32% at a concentration of 25μg/mL. To reveal how it works in inner-cellular level, we performed Western blot method. We found out that it also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in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and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in melanocytes. Therefore, we successfully identified the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a extract, and this finding suggested that Androsace umbellata extract is a considerable potent cosmetics ingredient for whitening. Based on this, we anticipated further researches about Androsace umbellata extract for gene levels and additional mechanisms to develop not only for functional cosmetics but for medicines or healthcare food.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기기 및 시약   2.2. 시료 추출물의 구매   2.3. 미백효능 평가  3. 결과 및 고찰   3.1. 미백 효능 평가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
저자
  • 김보윤(한국콜마(주) 소재연구소) | Kim, Bo Yun
  • 박성하( 한국콜마(주) 소재연구소) | 박성하
  • 박병준( 한국콜마(주) 소재연구소) | 박병준
  • 김진준( 한국콜마(주) 소재연구소) | 김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