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큰느타리버섯 선발을 위한 SCAR marker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베타글루칸 고함유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9종과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 9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R03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R03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91 bp 부근에서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R03-1-F와 OP-R03-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R03-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91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R03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SCAR marker that differentiates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from control strain was developed. Genomic DNAs of 9 control strains of Pleurotus eryngii and 9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were analyzed by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One-hundred twenty RAPD primers were screened on bulked DNA samples and a unique DNA fragment with the size of 91 bp was yielded by OP-R03 primer from the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A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designated as OP-R03-1-F and OP-R03-1-R,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sequence. The PCR analysis with the OP-R03-1 primer showed that this SCAR marker can clearly distinguish the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from the control strains.

목차
 ABSTRACT  서론   대립 계통과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계통의 선발   RAPD를 이용한 BSA   SCAR 마커 디자인  적요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수철(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Kim, Su Cheol
  • 김혜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혜수
  • 조용운(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조용운
  • 류재산(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류재산
  • 조수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조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