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도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분포 특성 KCI 등재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3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방법에 의한 식생 조사 및 버드나무의 매목 조사, 좌표결정법에 의한 식물군락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이루어졌다. 총 88종으로 이루어진 7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습생식생과 건생식생으로 대분류되었다.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는 일차적으로 토양 수분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차적으로 유기물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습지식생 면적은 7,337m2로서 습지보호지역의 약 8%이며, 습지보호지역 이외의 공간에도 분포하고 있어 보호지역 경계 재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버드나무의 분포 확산은 1990년대 이후 휴경과 가축 방목이 통제 되면서 습지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확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information for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Jangdo wetland conservation area through the survey of vegetation diver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yntaxonomic account of plant communities were carried out field survey by Z.-M. school method at 14 sites and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lant community and environment variables with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ll the plots were classified into xeric and hydric type and arranged in seven plant communities. Spatial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is determined primarily by the soil moisture condition and amount of organic matter. Hydric vegetation is around 8% (7,337m2) of the protected area and distributed swamp forest of dominating willows under 18 years. Proliferation of willows are recognised extended from edge to centre after in 1990's caused by fallow and control of livestock grazing on wetland. Jangdo wetland will have to readjust the protection boundary because wet meadow zone and swamp forest have been distributed outside the protection area.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2. 연구방법  결 과   1. 식생유형의 다양성   2. 공간 분포 특성   3. 장도습지의 버드나무 발달 특성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안경환(국립환경과학원) | An, Kyung-Whan
  •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임정철
  • 이율경( 참생태연구소) | 이율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