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역량 KCI 등재

The Capabilities Needed for Becoming a Global Hidden Champ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가? 본고에서는 자원기 반관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역량과 글로벌 시장역량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제시 하고 있으며, 이들 역량이 제품개발전략과 시장선택전략을 통해 글로벌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글로벌 강소기업과 후보기업 400개를 설문조사하고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역량과 글로벌 시장 역량이 이들 기업의 글로벌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인지, 어떤 역량이 보다 중요한 요인인지를 분석하였다. 이 어서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이들 역량이 제품개발전략과 시장선택전략을 통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였다. 또한 글로벌 시장진입장벽이 글로벌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역량과 함께 이론적이고 전략적인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What factorsmake Korean SMEs globally competitive companies, also known as global hidden champions? The survey conducted on 400 Korean SMEs showed that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and global market capability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a firm's performance, and that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global market capability.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both capabilities affect the performance through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but not through market selection strategy. Barriers to global market entry was found to be a negative factor.
This study suggests that a firm's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he managerial ability as well as the resources, and that the resource-based view can be applied not only to big companies with abundant resources but also to SMEs that have limited resources. Several strategies are proposed for Korean SMEs in becoming a global hidden champion; 1)being born global rather than gradual global for a quick export expansion, 2)obtaining and utilizing RandD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3)training regional specialists to overcome barriers to global market entry.

목차
Ⅰ. 연구 필요성과 과제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도출
  2.1 이론적 배경
  2.2 가설도출
 Ⅲ. 실증분석
  3.1 연구방법
  3.2 분석결과
 Ⅳ. 결론
  4.1 요약
  4.2 이론적 시사점
  4.3 전략적 시사점
 Ⅴ. 연구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참 고 문 헌
저자
  • 이영주(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실 연구위원) | Young-Joo Lee
  • 윤동진(우석대학교 문화사회대학 교수) | Dong-Jin Yo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