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거리와 고도의 지수를 구분한 수정거리고도비율법의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Modified Distance-and-Elevation Ratio Method with Different Exponents of Distance and Ele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결측 강수량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거리고도비율법에 포함되어 있는 거리와 고도차의 지수는 동일하게 제곱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개의 지수를 각각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적용 사례로 한강 유역에 있는 평창을 기준 관측소로 하고 주변에 있는 5개 지표 관측소(방림, 수주, 청옥산, 진부, 영월1)의 10년(2004∼2013년) 간 326개 시우량에 적용한 결과 적합한 거리와 고도의 지수 값은 각각 3.7, 0.57로 나타났다. 수정거리고도비율법의 거리와 고도의 지수는 결측 보완 또는 보간을 필요로 하는 위치의 지형공간적인 특성에 따라 맞게 적용해야 한다.

Both exponents of distance and elevation into distance-and-elevation ratio method for estimating missing rainfall data are expressed as squares together but in this study the two exponents are differently separated and analyzed. We used 326 hourly rainfall events of precipitation data during 10 years of 2004 to 2013 observed at a base station of Pyeongchang and the five neighboring index stations-Bangrim, Suju, Cheongoksan, Jinbu, Yeongwol1-in Han River basin for a case study. As a result, exponent values of distance and elevation appropriate for a topography of the site appear as 3.7 and 0.57 respectively. The exponents of distance and elevation difference need to be applied according to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ite where estimating missing data or interpolation are required.

목차
1. 서 론
 2. 적용 방법의 검토
  2.1 기존 방법
  2.2 수정거리고도비율법
 3. 적용 및 결과 분석
  3.1 적용 대상
  3.2 방법 적용
  3.3 결과 분석
 4. 주요 결과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유주환(영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부교수) | Yoo, Ju-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