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대강에 설치된 다기능보는 하천을 횡단하는 수공구조물로써 고정보와 가동보로 구분되어 설치되었으며, 각 다기능 보의 수문운영 방식에 따라 유량이 변화하여 하상변동 및 유사이동 형태의 변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보의 수문운영에 따른 장기 하상변동을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금강에서는 다기능보의 설치 및 수문운영 시나리오에 따라서 최심하상고의 변화가 연평균하상고의 변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심하상고의 하상저하는 최대 2.79 m, 하상상승은 최대 1.90 m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평균하상고의 하상저하는 최대 2.16 m, 하상상승은 최대 1.24 m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상변동에 따른 홍수위 분석 결과, 다기능보 설치 후에 홍수위가 대부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2.23 m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서 제방의 여유고를 상회하는 홍수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하천의 유사관리 및 하천계획수립을 함에 있어서 다기능보의 수문운영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하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종단적 하도관리 및 안정하상 채택 등을 위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ulti-functional weirs has been installed in four rivers are hydraulic structures across the river. The structures were divided into movable and fixed weirs. Hence, riverbed-level variation and sediment transport can be varied due to water gate operation. In this study, the long-term riverbed-level variation of Geum river basin due to water gate operation of multi-functional weirs was studied.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variation of thalweg elevation was greater than the variation of annual average riverbed elevation due to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ion and water gate operation. Maximum riverbed degradation of thalweg elevation that occurred was 2.79 m and riverbed aggradation was 1.90 m. Maximum riverbed degradation of the annual average riverbed elevation that occurred was 2.16 m and riverbed aggradation was 1.24 m. Analysis result of flood stage by the variation of riverbed-level shows that flood stages were increased in majorities area. The maximum increase in the value of flood stage was 2.23 m. For this reason, flood stages can be greater than the freeboard of the levee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water gate operation of multi-functional weirs when planning and managing sediment in the river. We are expecting to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in river planning for river management and selecting the river reg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