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at Preschool Level in Singapore: A Research Observation and Reflection KCI 등재

新加坡学前识字情况:一次研究观察与反思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언어의 사용과 접촉은 아동의 언어 학습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싱가 폴의 미취학 아동들에게 어떤 언어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문은 특히 중국어 한자 습득을 주요 논제로 삼았다. 본 연구는 아동의 특정 상황 속에서 사용하는 언어 사용으로부터 중국어를 사용하는 성인의 접촉 빈 도, 중국어 사용 환경 시간의 길고 짧음, 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읽기와 쓰기 도구 정도 등의 여러 조건을 설정하고, 싱가폴 미취학 아동들의 중국어 한자 능력을 관 찰해 보았다. 설문조사와 분석의 결과는 미취학 아동들의 한자 능력을 개선의 여지 가 있으며, 우리에게 현재 시행되는 미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기관과 가정 교 욱의 현황과 실천을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본문의 말미에는 싱 가폴 미취학 아동들의 중국어 한자 교육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exposure to language use has strong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learning and development in the long run. In order to define language dominance of Singapore preschoolers’,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Chinese word recognition which is the focus of this paper, I would be looking at a number of multiple factors, such as child’s language use in specific contexts, frequency of contact with Mandarin-speaking adults, the exposure to Chinese language the child has and the literacy support given to the child, etc., as points of references in investigating Singapore Chinese preschoolers’ competence in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While the survey and test results show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preschoolers’ Character Recognition, the findings also lead me to examine some of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actices in preschools and at home, and this paper will offer critical reflection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Singapore.

语言的使用与接触对儿童的语言学习与发展有深远的影响. 为了能更精确地了解新加坡学龄前儿童的优势语言,特别是本文关注的华文识字议题,本研究从儿童在特定情境中的语言使用、与说华文的成人的接触频率、处于华文环境的时间长短以及儿童所获得的读写帮助等层面切入,考察新加坡学龄前儿童的华文识字能力. 问卷调查与分析结果显示,学前儿童的识字能力有改善空间,结果也能帮助我们检视现行学前中心与家庭教育的现状与实践. 本文最后提出改善新加坡汉字教学的反思与建议.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AND BACKGROUND
 Ⅱ.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UNDERPINNING
 Ⅲ. RESEARCH DESIGN
 Ⅳ. DATA ANALYSIS AND IMPLICATION
 Ⅴ. OBSERVATIONS AND REFLECTION ON THETEACHING OF CHINESE CHARACTER INPRESCHOOLS
 Ⅵ. CONCLUSION
 參考文獻
 ▮中文摘要
 ▮ Abstract
저자
  • Tan, CheeLay(Executive Director, Singapore Centre for Chinese Language,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陈志锐